언어 기출 눈 오는 지도와 의인법 활유법 질문이요!
게시글 주소: https://w.orbi.kr/0001288184
눈 오는 지도-윤동주에서 마지막 줄의 꽃이 피리니가
그리움의 꽃이라고 하는데 꽃은 순이가 있는 곳까지 안내해주는 이정표의 역할을 하지만 눈이 1년 내내 내려서 갈 수가 없음으로 해석할 수 있지 않나요?
그리움의 꽃이라고 하는 이유는 혹시 만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그리움을 더 심화시키는 꽃이라는 것인가요?
또 의인법은 사람이 아닌 대상을 사람의 특징을 띄게 하는 것인데 생물과 무생물 둘 다 되는 것은 맞나요?
활유법은 사람보다 더 큰 범위인 생물의 움직임을 특징으로 쓰는 것인가요? 그렇다면 활유법이 의인법을 포함하는 것인데;;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화자는 순이와 재회하고 싶지만 순이가 있는 곳을 몰라 안타까워 합니다.
순이의 발자국이라도 더듬어 순이를 찾아나서고 싶지만 눈이 발자국을 덮어 떠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눈이 녹으면 발자국 사이로 핀 꽃을 더듬어서라도 순이를 찾아가고자 합니다.
따라서 이때 꽃은 그리움의 정서를 담은 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꽃 사이로 발자국을 보고 순이를 찾아나선다 하더라고 "일년 열두 달 하냥 내마음에는 눈이 나리리라"고 말한 것으로 보아
끝내 나는 순이와 재회하지는 못할 것이고 그렇기 때문에 내 마음에 눈이 내리는 것입니다.
내 마음에 내리는 눈은 순이에 대한 그리움의 표현입니다.
꽃을 더듬어서라도 순이와 만나고 싶다고 해석한다면 꽃은 그리움의 심화, 재회에의 강렬한 의지 표현으로 볼 수 있고
내가 순이와의 재회를 위해 유일하게 기댈 곳이지만 헛된 희망에 불과할지도 모른다는 화자의 심정을 대변하고 있습니다.
화자의 상황을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요약할 수 있습니다.
순이와의 이별 - 슬픔(에 침전)과 그리움 - 어디로 갔는 지 알 수 없음 - 찾아선다 하더라도 장애물이 있음(발자국을 덮은 눈, 당장은 갈 수 없음) - 눈이 녹아 꽃을 더듬어 순이를 찾아나선다 하더라도 재회가 어렵다는 점을 인식
각 상황에 따라 "눈"이 의미하는 바도 묘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상징성이 강한 시이며 다른 해석도 가능합니다.
의인법은 생물과 무생물 둘 다 되며 추상적인 관념도 의인법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 질투가 복수의 칼을 빼 들었다
대상에 인격을 부여하는 것입니다.
넓은 의미에서 활유법이 의인법을 포함한다고는 할 수 있으나 대부분 구분할 수 있고 구분하게 마련입니다.
질문의 요는 의인법이 사용된 부분은 활유법이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는가? 인것 같은데 "할 수 있긴 하다"가 이 질문의 답이긴 하지만
가장 적절한 것을 찾으라 하면 의인법을 골라야 하며 논란이 될 만한 문제는 출제되지 않으니 크게 고민하지 않아도 될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