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석원 실모 나형1권 2회 18번행렬문제 질문이요
게시글 주소: https://w.orbi.kr/0003100436
ㄷ번 어떻게 푸는지 좀 알려주세요;;
위에 ㄱ ㄴ 이용하는것 같긴 한데 잘 모르겠네요
그리고 문제 풀다보니까 BA하고 AB하고 같은걸 이용하는것 같은데 그거 두개가 같은지 어떻게 알 수 있는거죠??
ㄴ을 이용해봐도 행렬A(BA+E)에서 앞에곱해진행렬이 A가아니라 임의의 X라고 가정을 하면 BAX=XBA나와서 AB=BA인지 모르겠더라고요
답변부탁드립니다 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문제를 풀기 귀찮은거임
-
메디컬 쪽 6년 쓰기에 충분하죠? 120hz 차이가 큰가??
-
면접에서 계엄령 선포했는데 최초합댔어요
-
현장검거 ㄷㄷ
-
뭐가 더 나을까요? qrm은 계량위험관리학과라고 경제학+통계학 배우는걸로 알고있어요...
-
서울대생이면 거의 다 투투임??? 아님 아무리 서울대생이라해도 투투합격은 소수임? ?
-
집에가니까 확실히 깔아져서 연필통 하루치 풀기 이상의 무언가를 못하겠음
-
걍 모든게 거슬려보임
-
화작 미적 사문 생윤 선택할껀데 올해는 사문 생윤 개념 무한회독하고 시간 엄청남으면...
-
차마 예쁘다고는 못함ㅋㅋㅋㅋㅋ
-
ㅋㅋ
-
잇올에서 건강문제+통학문제로 그만두고 갈곳이 독서실 밖에 없는데 망할까봐 무서워유.
-
시대기숙 : 컨텐츠비 제외 전장인데 컨텐츠비만 한달에 90~100나올듯 강사라인업...
-
이 정도로 인기를 끌었으면 돈맛을 봐서라도 만들법한데 투자도 빵빵할테고 스태프들이...
-
콧대 부분이라 음영이 있는게 당연한건데 코끝 묶어서 그런줄 알고 호들갑 떨면서 난리...
-
언미물1지1 언 4등급 미 백분위89 영 2등급 물1 백88 지1 백95
-
자기 전 투표 1
.
-
이거 미적에서 원점수 96-100왔다갔다 하던 사람들은 10
확통가도 고정100 할수있는겨?
-
족보 개꼬임 0
호적메이트 고닥교 자퇴하고 검고쳐서 24학번으로 의대갓는데 내가 그 학교 26되면...
-
같은 과에 10
옵창 있으면 어떡함
-
국 수(가) 탐 탐 백분위가 85 49 2 98 80 이걸로 지거국 가능함?
-
하지만 내가 2주 동안 한 순공만큼인걸
-
둘다 의과대학 갤러리 펌 "뒷일 감당할 수 있으면" "그에 대한 책임을 지는" 두...
-
이제 내 공부 플랜을 조금 바꿔봐야 하는건가
-
현장에서 속함수 치역 확인할 생각하기 힘들었을듯 +과외돌이가 n축 이해하려나?
-
1. 국제수학올림피아드 금메달 달고 있는 사람 수두룩 KMO나 다른 올림피아드까지...
-
시대기숙 전장 1
전장 기준이 표점 401점이네 허허 서울대 프리패스하는 점수 ㅜㅜ ㅈㄴ 높다
-
진짜 수학 좀 똑바로 공부할걸 미련하게 공부해서 몇달째 뻘공부만 오지게했네 그냥…....
-
아 예상보다 일찍 깻네 10
이런..
-
토게토게 <- 국내 페스티벌에서 라이브
-
노베입니다. 개념을 뭘로 시작하면 좋을까요?
-
뭐가 좋은 거에요?
-
적백에 4
국영탐 다 높은 3이면 어디쯤 갈수있지?
-
대박
-
누가 07이 학생 수 많아서 1.0 미친듯이 더 많다는데 의대 교과 컷 1.2가 막...
-
아이돌 노래틀어놓고 한두시간 연습하다가 끝나면 모여서 카페가고 떡볶이 처먹으러가고...
-
빨리발표해!!
-
남고소년ㅈㄴ재밌는데...... 뭐지 게이될것같음 박지 만신력 실환가 나 살면서...
-
봇치쨩의 경멸을 보고싶지않으면 주장철회 ㄱㄱ
-
맞팔해주세요 4
공부관련된것만 올리고 열심히 재수할게요 끼잉끼잉
-
투투 2등급3등급이던데 이정도면 예전이었으면 서강대도 못들어갔을꺼라던데 이번에...
-
교양과목같은거 아예 안들어도 되는건가요?
-
감사합니다 2
투데이 400 감사합니다
-
낭만 미쳤다
-
맥북 괜찮나요,,,, 예과 때는 약간 힘들려나
-
신기하다 기숙도 시대가 먹는구나........ 28수능때 ㄹㅇ 인강까지할듯 진짜 ㅈㄴ 영향력 크네
-
진짜 올해 탈출 못했으면 …
-
이래서 알트는 못 건들겠다 ㅇㅇ..
-
반갑습니다 6
ㄷ에 양변에 E+BA를 곱해보세여
그러면 좌우변이 모두 단위행렬댐
답변 감사합니다~ ㅋ
ㄱ은 쓸모가 없습니다 ㄴ을 이용해야 하는데 어떤 행렬의 역행렬은 하나 밖에 존재 할수 없다는게 전제가 됩니다. 그리고 ㄴ은 참이 됩니다. 즉 (E+BA)의 역행렬이 존재한다면 AB=BA가 성립을 합니다. 그리고 ㄷ을 봅니다.
ㄷ에서는 (E+AB)의 역행렬이 존재한다고 전제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E+BA)의 역행렬이 존재한다면 그건 교환법칙이 성립하게 떄문에 (E+AB)의 역행렬이기도 합니다. 즉 (E+AB)or(E+BA)가 성립한다면 교환법칙이 성립합니다. 이제 ㄷ의 양변에 E+AB를 곱해줍니다. 그러면 중간에 B와 A가 걸립니다. 하지만 교환법칙이 성립함으로 뒤로 다 빼버립니다. 그렇게되면 양변에는 E=E라는 식이 나오고 주어진 식이 자명하다는 사실이 드러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 ㅋ
정확히 얘기하면 ㄱ이 이용되는 겁니다
먼저 ㄷ의 준식에 양변에 (E+BA)를 곱합니다.
(사실 이과정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번 9월 모평 ㄱ,ㄴ,ㄷ의 ㄴ에서도 쓰이지만 준식이나 준식의 변형과정에서 역행렬 자체가 있을 때 거기에 원행렬을 곱해서 단위행렬로 만드는 변형은 매우 자주 출제됩니다. 가령 간단하게 EX) A=A^-1 를 A^2=E 로 바꾸듯이..)
그럼 E={E-B(E+AB)^-1 A}(E+BA)가 됩니다. 이 식의 우변을 전개하면
E=(E+BA) - {B(E+AB)^-1A(E+BA) 가 된고 여기서 ㄱ을 이용하여 우변의 맨오른쪽
A(E+BA)를 (E+AB)A로 먼저 바꾸면 E=(E+BA)- {B(E+AB)^-1(E+AB)A}가 되어 결국
E=(E+BA)-(BA)가 됩니다. 결국 E=E입니다.
그리고 위에 ith님의 풀이는 잘못되어있습니다. ㄴ과 ㄷ은 전제가 다른 상태에서 출발합니다. ㄴ의 전제는 E+BA의 역행렬이 A라는 것이고 ㄷ의 전제는 E+AB의 역행렬이 존재할 뿐 그것이 A인지는 모르는 상태이기때문에 함부로 AB=BA가 성립하지도 않고 E+AB의 역행렬이 E+BA의 역행렬과 같은지도 알 수 없습니다.
와 정말 감사해요 ㅠㅠ ㄴ에서 AB=BA이거 안되는거라고 계속 생각했는데 역시 ㅋㅋ
처음에 (E+BA)곱할려고했는데 계산식이 너무복잡해서 그냥 아닌가보다 하고 계속 뻘짓하고 있었네요 정말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