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11번 (에픽테토스, 스피노자) 분석 [이상 도덕·윤리 연구소]
게시글 주소: https://w.orbi.kr/00040140777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11번 (에픽테토스, 스피노자).pdf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11번 (에픽테토스, 스피노자)
이상(理想) 도덕·윤리 연구소
소장 임재섭
갑 지문 읽기
‘이성적으로’라는 말은 ‘자연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완전하게’라는 뜻이다.
이성의 개념을 자연과의 완전한 일치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스토아학파의 입장입니다.
인간은 인상(印象)을 이성적으로 사용할 능력을 가지고 있는 동물이다.
당신이 소유하고 있으면서도 당신에게 고유한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이성적 능력이다.
스토아학파에 따르면, 인간은 외부 사건 등으로 인해 생기는 인상을 이성으로써 처리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동물입니다. 인간은 외적으로 사건을 자기 뜻대로 바꿀 수는 없지만, 내적으로 의지의 자유를 발휘해서 사건으로부터 생겨나는 인상들을 자기 나름대로 ‘자연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완전하게’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자연의 이법으로서의 거대한 이성은 온 세계가 공유하는 것이지만, 각 사람이 인상을 받아들이는 개별적 이성은 각자에게 고유한 것입니다. 그렇기에 자연의 이법을 파악하고 의지의 자유를 발휘해서 인상에 대한 자신의 판단을 자연에 일치시키는 것은 전적으로 자기 자신의 몫입니다. 그리고 그렇게 자연과 일치하는 삶을 살 때 부동심(apatheia)을 누리게 됩니다.
EBS가 제공하는 해설 등을 보면 갑을 에픽테토스로 밝히고 있고, 실제로 갑은 에픽테토스가 맞습니다. 지문이 에픽테토스 『담화록』의 일부니까요. 당연하게도 여러분께서 스토아학파의 구체적 사상가들을 알아내실 필요는 전혀 없고, 교육 과정상 알아낼 도리도 없습니다. 이 사상가가 스토아학파의 인물이라는 것만 알아내시면 됩니다. 저도 그 점을 따라 아래의 해설에서 에픽테토스 한정의 해설이 아닌 스토아학파 일반의 해설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을 지문 읽기
삼각형의 본성으로부터 그것의 세 각의 합은 두 직각의 합과 동일하다는 사실이-영원에서 그리고 영원으로-필연적으로 따라 나온다.
삼각형 내각의 총합이 두 직각의 합(90°+90°=180°)과 같다는 기하학적 사실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기하학을 비롯한 수학의 사실들은 시공간의 제약과 전혀 무관하게, ‘영원에서 그리고 영원으로’ 참입니다. 달리 말하자면, 삼각형 내각의 총합이 180°라는 사실은 삼각형의 본성으로부터 필연적으로 참입니다.
이 필연과 동일한 필연으로, 신의 최고의 힘으로부터 무한하게 많은 양태(樣態)의 무한하게 많은 것들이 항상 따라 나올 것이다.
앞의 필연과 동일한 필연, 즉 기하학적 필연에 의해, 신의 무한한 힘으로부터 무한하게 많은 양태가 인과 연쇄를 따라 발생한다, 스피노자의 주장입니다.
여기서 오해하시면 곤란한 것이, ‘무한하게 많은 양태’라는 말이 ‘양태의 수’가 무한하다는 것이지 ‘양태’가 무한하다는 것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스피노자가 실체만이 무한하고 그 양태들은 모조리 유한하다고 주장한다는 것은 다들 잘 아실 것입니다. 스피노자에 따르면, 신은 자연 자체이며, 필연적으로 무한한 존재입니다. 모든 양태는 신 안에서 인과적으로 발생하고 소멸합니다. 그렇다면 신은 영원한 존재이므로, 신 안에서 양태가 생멸하는 일은 끊임없이 인과적으로 이어지며, 따라서 “무한하게 많은 양태의 무한하게 많은 것들이 항상 따라 나올 것”입니다.
이처럼 삼각형의 본성으로부터 내각의 총합이 필연적으로 결정되듯이, 신의 본성으로부터 “무한하게 많은 양태의 무한하게 많은 것들이 항상 따라 나올 것”이라는 결론이 필연적으로 결정됩니다. 『윤리학(Ethica)』에서 세계를 기하학적 질서로 파악하고자 한 스피노자의 성격이 여실히 드러나네요.
ㄱ. 갑: 행복은 신에 대한 직관적 인식에서 나오는 만족일 뿐이다. (×)
일단 이 선지가 스피노자의 입장이라는 점은 다들 아실 것입니다. 하지만 ‘스피노자의 입장이니까 스토아학파의 입장이 아님.’이라고 판단할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어째서 행복을 ‘신에 대한 직관적 인식에서 나오는 만족’으로 한정하는 것이 스토아학파의 입장으로 옳지 않은지 살펴봅시다.
스토아학파가 주장한 행복은 바로 부동심입니다. 여기서 부동심(apatheia)이란 정념(pathos)에 휘둘리지 않는(a-) 상태(-ia)를 말합니다. 이렇게 이해되는 부동심은 요동치는 정념의 ‘부재’로 규정되는, 다분히 소극적인 개념입니다. 적극적으로 특정 행위를 해서 얻어내어지는 것도 아니거니와, ‘만족’과 같은 적극적 정서도 아니고, 애초에 특정한 ‘정서’가 아닙니다. 부동심은 하나의 ‘상태’일 뿐입니다.
스피노자는 자기 보존의 욕망(conatus)을 해치는 수동적 감정, 즉 정념을 멀리하는 대신, 자기 보존의 욕망을 고양하는 능동적 감정을 중시했습니다. 스피노자에게 ‘신에 대한 직관적 인식에서 나오는 만족’이란 자기 보존의 욕망을 최고로 고양하는 최고의 능동적 감정으로 이해되고, 그것이 바로 행복이 되는 것이죠. 하지만 스토아학파는 부모에 대한 사랑과 같은 자연적 감정을 용인했을 뿐, 스피노자처럼 적극적으로 능동적 감정을 향유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는 않았습니다.
이처럼 ㄱ은 개념을 분석적으로 보나, 철학사의 흐름을 조명해 보나, 스토아학파의 입장으로는 옳지 못한 선지입니다. 이 내용을 아주 직접적으로 잘 묻는 문제로 2021학년도 9월 모의평가 16번이 있습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2020학년도 이후 평가원 윤리와 사상 최고의 역작으로 꼽는 문제입니다. 아래에 별첨해 두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ㄴ. 을: 자연은 인과적 필연 법칙에 따라 움직이는 기계이다. (○)
스피노자의 아주 기본적인 입장이라서 별다른 설명 없이 넘어가겠습니다.
ㄷ. 갑, 을: 인간은 자연의 한 부분으로서 자연에서 벗어날 수 없다. (○)
스토아학파의 입장에서는 인간을 비롯한 자연 만물이 자연의 거대한 이성에 지배받아 자연에서 결코 벗어날 수 없습니다. 스피노자의 입장에서는 인간도 다른 사물들과 마찬가지로 자연의 인과적 필연성에 지배받아 자연에서 결코 벗어날 수 없습니다.
ㄹ. 갑, 을: 인간은 자신의 노력으로 정념의 속박을 극복할 수 있다. (○)
스토아학파는 인간이 부와 명예, 사건 사고 등의 외적 조건을 바꿀 수는 없지만, 자신의 내면을 스스로 조절할 수는 있다고 보았습니다. 이 자유를 ‘의지의 자유(freedom of will)’라고 합니다. 정념에 속박되느냐 정념으로부터 자유로우냐는 내면의 문제이기 때문에, 인간이 스스로 의지의 자유를 발휘하여 자신의 노력으로 정념의 속박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스피노자는 인간이 자연의 질서를 파악하여 자신의 정념(수동적 감정)이 불필요하게 발생하고 있음을 자각하고, 자기 보존 노력으로 능동적 감정을 고양하면서 수동적 감정의 속박을 벗어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혹시 스피노자가 자유 의지를 부정한 것을 떠올리면서 ‘인간이 자신의 노력으로 무엇을 이룬다는 게 가능한가?’라고 의문을 품으셨다면, 아래 인용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스피노자는 의지를 노력과 철저히 분리해서 정의했습니다.
앞으로 더 나아가기에 앞서 여기에서 주의해야 할 것은, 내가 이해하는 의지는 노력(cupiditas)이 아니라 긍정하거나 부정하는 능력이라는 점이다. 나는 의지를 참인 것이나 그릇된 것을 긍정하거나 부정하는 능력으로 이해하며, 정신으로 하여금 사물을 추구하게 하거나 기피하게 하는 것으로 이해하지 않는다.
스피노자, 『에티카』, 제2부 정리 48 주석 (강영계 역) -
스피노자에 따르면, 인간의 노력은 (자유) 의지가 아니라 자기 보존의 욕망에 의해 가능합니다. 다시 말해, 스피노자의 자유 의지 부정은 인간의 노력 가능성에 대한 부정을 함축하지 않습니다.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별첨 문제
이상 도덕·윤리 연구소 소개
이상 도덕·윤리 연구소는 최근 수능에 대한 감각과 교과 지식이 충분한 대학생들로 구성되어 있다. 철학·윤리 전공자와 타과 전공자를 아우르고 있어 균형 잡힌 시각에서 모의고사를 제작한다. 수험생분들의 수능 대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오류 없는 문제, 쉽지 않은 문제, 깔끔한 문제를 지향한다.
이상 도덕·윤리 연구소 연구원
- 임재섭 서울대학교 철학과
- 강승철 고려대학교 행정학과
- 김성민 서울대학교 인문계열
- 박세은 서울대학교 철학과
- 박정민 건국대학교 철학과
- 여지선 동국대학교 철학과
- 임재원 경희대학교 한의학과
- 조민준 서울대학교 철학과
이상 도덕·윤리 연구소 약력
2021년
-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대비 Éthique Fatale 모의고사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출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물리1 0
대성 방인혁T 물리 더 펀더멘털부터 시작하는게 좋나요 더 비기너부터 시작하는게 좋나요?
-
으아아아아아ㅏ앙 아파
-
ㅅㅂ
-
칼럼 쓸거임
-
고등학교 진학률이요
-
느그들본진으로가
-
진짜 안갚아도 되냐 이거 만원정돈데
-
지듣노 0
애인이 생긴다면 꼭 노래방에서 불러보고싶음.
-
이겼잖아 근데
-
과탐 그립다 3
-
앞으로 보드는 1+1입니다 피부과+소아과 3년씩 안과+산부인과 3년씩...
-
여자많은편인가
-
우와 5
올해는...
-
모두가 죽진 않는다 다수가 죽을뿐 소수는 생존한다
-
너의모든순간 2
그게나였으면좋겠다
-
자꾸 옆에 오려는 동기가 있으면 어떡함? 걔가 앞에 자리잡아서 맨뒤로가면 자기가...
-
편견과 선입견
-
이쪽으로는 잘몰라서
-
친구들이 노는데 못 낌 ㅠ
-
전체 지원자수 1단계 합격자수(2배수) 어느 것으로 입력해야 할까요?
-
2022 개정 한번 사봐야될것같은데
-
엔수생 미필 경기도 본가(중산층, 아빠 대기업다님) 친구,여친,가족 등 인간관계 다...
-
국어 현강 0
강기분 듣다가 문학은 체화가 되는데 독서는 너무 어려워서 국어 현강 들으려고 하는데...
-
급함
-
Me: 예비고3이고 고2때 내신으로 지구했고 기출위주로 빡세게돌림 아마 수능쳤다면...
-
군대에서도 병신인데 애는 착하다는 말 많이 들었었는데 ㅋㅋㅋ 갑자기 신뢰도 파악 올라가노
-
입시 끝나면 윤사도 공부해야지 내가 철학의 기본이 되는 무언가를 배운다는게 너무...
-
국어 고수분들 8
언매랑 화작 중에 뭘하는게 좋을까요?? 언매는 아예 노베이스고 작년에 수시최저...
-
어떤게 더 어렵나요?
-
정맥의 말단쪽 혈관이면 피가 들어오는 입구쪽 혈관인가요 정맥에서 피가 나가는쪽...
-
얼버기 4
-
얼부기 13
굿모닝이에요
-
현정훈T 6
내년에 현정훈T 라이브 들으려는데 올해는 물리 인강 누구 듣는게 좋을까요?? 누구를...
-
[D-5] ❗️기간 연장❗️ 2025 서울시립대학교 오픈 캠퍼스 투어 0
[2025 서울시립대학교 오픈 캠퍼스 투어] 안녕하세요! 함께 꿈을 이루어 나가는...
-
입문n제 0
수학 안정 2등급대 나오는데 입문N제 몇 개정도 푸는게 좋나요??
-
사람이 먼저다 2
ㄹㅇ
-
누군가는 엔지니어보다 간호사가 미국 간호사 자격만 따면 이민가기 유리하다고 하던데
-
역시 ㅆㅅㅌㅊ
-
* 자세한 문의는 아래의 링크를 통해 연락 바랍니다....
-
ㄹㅇㅋㅋ
-
이럴줄 몰랐는데 약간의 두통이랑 어지러움이 생겼네요
-
ㅇ에ㅐ
-
어디가 심할까?
-
얼부기 3
-
이거 상대방이 쓰면 쓴 매장위치나오나요
-
정승제T 개때잡,기출끝,팔구십퍼요,시빌리삼을 노베이스가 몇개월안에 끝낼 수 있을까요...?
(을)의 입장이 수능특강에 거의 그대로 있었던 것으로 기억해요. 그 때는 몰랐었는데 깜짝 놀랐어요...
별첨 문제의 을도 에픽테토스입니다. 제 기억으로는 지문이 아마도 《엥케이리디온》의 일부인 것 같네요. (《엥케이리디온》은 《담화록》의 요약본 정도 되는 책입니다.)
스토아학파 사상가들 구분하는 건 정말 어려워요 ㅠㅠ 정말 웬만해서는 원문 읽은 기억에 의존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저도 빈번히 빗나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