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vajinny [478107] · MS 2013 · 쪽지

2013-12-09 12:50:24
조회수 8,800

★ 영어 빈칸추론이 어렵게 느껴진다면

게시글 주소: https://w.orbi.kr/0004047742

안녕하세요?

오르비에서는 처음으로 인사를 드리는 차 진희입니다.^^

글을 시작하기에 앞서, 어느 수강생이 올린 글처럼,
올해 수능을 치른 모든 오르비 학생들에게 좋은 결과가 있어서 훈훈한 합격댓글이 도배되기를 바랍니다.

반면, 아쉽게도 본인이 할 수 있었던 최고의 역량을 발휘하지 못했거나, 재도전을 결심하고 있는 n 수생여러분들, 고 3이 된다는 중압감 속에서 막연한 두려움을 느끼고 있을 예비 수험생여러분들에게 영어 공부의 부담감을 덜어드리고자 이야기 실어 봅니다.

2011 수능부터 사교육비 절감의 취지로 EBS 교재를 70% 반영한 이래로, EBS 연계지문의 신뢰도 문제 (실제로 원문을 검색해보면, 개인 블로그나 검증되지 않는 작가의 글도 다수 발견되곤 한다) 나 문제오류, 답안오류 문제 등을 차치하더라도, EBS 교재로 오히려 수험생들의 학습 부담이 가중되었으며, EBS 교재의 한글 해설지 자체의 이해가 어려운 지문들도 종종 눈에 띄곤 합니다.

이렇게 수험생들의 진짜 실력과 사고력을 가늠하기 힘든 모순된 구조 속에, 2015 수능에서도 EBS 70% 연계는 그대로 유지된다고 합니다.
[듣기 17 (16~17문제 연계예상) + 독해 28(14~15문제 연계예상)=45문항]

예외 없이, 2014 수능에서도 1~2 등급 학생들을 가장 힘들게 했던 문제 유형은 빈칸추론 영역이며, 당연히 EBS 비연계 지문이었던 33,34,35번 (빈칸추론 3점), 36번 (2단어 빈칸 3점) 이었습니다.

영어 영역에서 비연계 지문의 빈칸추론의 3점 문항은 EBS 70% 연계와 난이도 조절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해결사 역할을 톡톡히 해왔습니다.

EBS 연계 지침이 현행대로라면, 고득점의 열쇠는 비연계 3점 문항에 달려있는 것이 당연하기 때문에, 수험생 여러분이 아직도 한국말이 더 어려운 단어 나열식 독해를 하고 있는지, 독해지문의 출제 의도 즉, 저자가 무엇을 (글의 소재) 가지고, 어떤 의견을 (글의 주제), 어떤 식으로 (주제 전개 방식) 독자를 설득하려고 글을 썼는지를 파악하려고 접근하는 지가 가장 중요한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영어영역의 2011 수능은 2 가지 두드러진 특징이 있는데, EBS연계출제 시작년도라는 점과 1등급 cut 이 90로 수험생들에게 불수능으로 기억된다는 점입니다. 
2011 수능의 최고 오답율 문항과 2014 수능의 35번 문항의 논제 전개흐름의 공통점을 파악해 보면 수능이 좋아하는 평가원 friendly(?) 비연계 지문 성격이 짐작 될 것입니다.

2011 수능 [26번 빈칸추론] - 오답률 87%

26. So far as you are wholly concentrated on bringing about a certain result, clearly the quicker and easier it is brought about the better. Your resolve to secure a sufficiency of food for yourself and your family will induce you to spend weary days in tilling the ground and tending livestock; but if Nature provided food and meat in abundance ready for the table, you would thank Nature for sparing you much labor and consider yourself so much the better off. An executed purpose, in short, is a transaction in which the time and energy spent on the execution are balanced against the resulting assets, and the ideal case is one in which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Purpose, then, justifies the efforts it exacts only conditionally, by their fruits. [3점]

① demand exceeds supply, resulting in greater returns
② life becomes fruitful with our endless pursuit of dreams
③ the time and energy are limitless and assets are abundant
④ Nature does not reward those who do not exert efforts
⑤ the former approximates to zero and the latter to infinity

주제 & 논리 전개 보기

bringing about a certain result, clearly the quicker and easier it is brought about the better.
소재 결과를 얻고자 집중할 때, 그 결과가 더 빨리, 더 쉽게 얻어질수록 좋다 주제문 (it / a result)


➁ {예시 1}
Your resolve to secure a sufficiency of food for yourself and your family
Your resolve = 결과 (얻고자하는)
will induce you to spend weary days in tilling the ground and tending livestock ;


{예시 2} but if Nature provided food and meat in abundance ready for the table,
you would thank Nature for sparing you much labor and consider yourself so much the better off.
Nature = sparing you much labor ≠ spend weary days
논리연결 :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노력이 필요지만,
                       자연은
노력 없이 얻을 수 있기에 더 좋다고 여긴다.더 쉽게 얻어질수록 좋다주제문(중복)

➃ An executed purpose, in short, is a transaction in which the time and energy spent on the execution are balanced against the resulting assets, and the ideal case is one in which
(빈칸추론) the former approximates to zero and the latter to infinity).

An executed purpose (달성된 목적) is a transaction
the time and energy spent on the execution = weary days / much labor the former
are balanced against the resulting assets = a certain result, / Your resolve to secure the latter

주제문 the quicker and easier (it is brought about) "노력(투자)"이 적어질수록 더 좋다(=좋은 거래)
weary days / much labor the former approximates to zero
the better. a certain result, / Your resolve the latter to infinity

Purpose, then, justifies the efforts it exacts only conditionally, by their fruits.
it=purpose their=efforts / fruits=results
거래를 하는 목적(=노력을 들여서 결과를 얻고자 함)은
결국 노력의 결과가 있을 때(by their fruits)에만 가능하다


2014 수능 [35번 빈칸추론] - 오답률 85%

 
What Science Needs from Non-Science

                                   [출처] Science and Non-Science in Liberal Education by Harvey C. Mansfield

Mathematics will attract those it can attract, (수학의 특성)
but it will do nothing to overcome resistance to science. (수학의 한계성)
소재 A 수학이 매력적이긴 하지만, 과학에 대한 거부감을 극복하지 못할 것이다.
                                                                                                                    (부정적 / 미래시제 / 추측성내포)

Science is universal in principle (과학의 특성)
     but in practice it speaks to very few. (과학의 한계성) {universal≠very few}
소재 B 과학은 원리가 보편적이기는 하지만, 실제에서 소수에게만 전달된다.
                                                                                                             (부정적 / 현재시제 / 대조어로
중심소재)

Mathematics may be considered a communication skill of the highest type, (frictionless) so to speak; (소재 A 특성) 수학은 갈등 없는 전달의 수단으로 여겨지지만,
                                                                   {
attract those it can attract = considered a communication skill}

and at the opposite pole from mathematics, {= Science}
the fruits of science show the practical benefits of science without the use of words. (소재 B 특성)
과학의 결과물은 전달수단(말) 없이 실질적 성과를 보여줄수 있다.

But those fruits are ambivalent. 문제점제기
                                          =
uncertain or unable to decide about what course to follow

하지만, 과학의 결과물은 이중적인 면이 있다. ⇨
                                                  Mathematics / attract those / not to overcome resistance to science
                                                  Science / speaks to very few / show the fruits not to use words

논리연결 과학의 결과 전달 (communicate / show the fruits) 의 이중적(양면적) 문제점

Science as science does not speak; ideally, all scientific concepts are mathematized
     소재 A                                                                                 소재 B 논리연결

                                    when scientists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and 
                                    when science displays its products (=fruits) to non-scientists

it (Science) need not, (and indeed is not able to), resort to salesmanship.  

➅ When science speaks to others, it is no longer science,  
                                             
 ⇨논리연결 ➄ Science as science does not speak;
and the scientist becomes or has to hire a publicist (who dilutes the exactness of mathematics).

➆ In doing so, When science speaks to others, (words / publicist)
the scientist reverses his drive toward mathematical exactness
in favor of rhetorical vagueness and metaphor, 논리연결 dilutes the exactness of mathematics


thus
violating the code of intellectual conduct that defines him as a scientist. (빈칸추론)
=reverses his drive toward mathematical exactness

[내용요약]

대부분의 사람들에겐 과학의 유용성을 전달시킬 언어 (즉, 수학)를 갖고 있지 않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일반인들에게 과학의 결과에 대해서 보여 줄 뿐이지, 전달을 할 수가 없다.
수학은 고차원적인 소통기술이며 수학으로 표현된 설명은 갈등이 없으나, 수학을 통해서가 아닌(정확성을 떨어뜨리는),
애매하고 중의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words (우리가 사용하는 말=문학에서의 말)로 과학이 설명되는 순간,
과학은 더 이상 과학일 수 없다. 따라서 일반인들에게 과학에 대해 말하려고 한다면, 과학자가 갖는 과학의 본질을 잃게 된다.





Example

※ 다음 글의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To speak of an education, there is as much a contradiction in terms as to speak of a round square. This is what no high school or college graduate know or can understand. As a matter of fact, most of their teachers do not seem to know it. In their obsession with covering ground and in the way in which they test or examine their students, they certainly do not act as if they understood that they were only preparing their students for education in later life rather than trying to complete it within the precincts* of their institution. There is, of course, some truth in the ancient insight that awareness of ignorance is the beginning of wisdom. But, remember, it is just the beginning. From there on one has to do something about it. And to do it intelligently one must know something of its causes and cures - why adults need education and what, if anything, they can do about it. When young adults realize how little they learned in school, they usually assu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But the fact is that the best possible graduate of the best possible school needs to continue learning every bit as much as the worst.        
                                                                                                                                        *
precinct n. 관할구역, 구내
                                                                                  
[문제 변형 출처] Schooling Is Not Education by Mortimer J. Adler
 

➀ the education policy was not efficient at that point
➁ that education itself is meaningless for grown ups
➂ they were too young to embrace intellectual training
examination systems do not help enhancing knowledge
there was something wrong with the school they attended


주제 & 논리 전개 보기

➀ To speak of an education, there is as much a contradiction in terms as to speak of a round square.
                     ⇨
소재 an education / 문제점 제기 a contradiction

This is what no high school or college graduate know or can understand.
As a matter of fact, most of their teachers do not seem to know it.
In their obsession with covering ground and in the way in which they test or examine their
students, (their obsession =teachers' obsession /with tests and examinations)
they certainly do not act as if they understood that they were only preparing their students for education in later life rather than trying to complete it within the precincts of their institution.
논리연결 a contradiction only preparing for education 
                                                    ⇔ trying to complete education = obsession

There is, of course, some truth in the ancient insight that awareness of ignorance is the beginning of wisdom.

But, remember, it is just the beginning. (it = awareness of ignorance is the beginning of wisdom)논리연결 School (their institution) is just the beginning complete education

From there on one has to do something about it. (= awareness of ignorance is the beginning of wisdom)

➇ And to do it intelligently one must know something of its causes and cures - why adults need education and what, if anything, they can do about it.

➈ When young adults realize how little they learned in school, they usually assu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But the fact is that the best possible graduate of the best possible school needs to continue learning every bit as much as the worst. 문제점의 해결책 주제문

➀ 교육에 대해서 말하자면, 사각형이 둥글다고 하는 것 같은 모순이 있다.
➁ 이는 고등학교 또는 대학 졸업자들이 알거나 이해할 수 없는 것이다.
➂ 사실 이들을 가르치는 대부분의 교사들도 이것을 모르고 있는 것 같다.
➃ 될 수 있으면 많은 것을 가르치려고 하고, 학생들을 테스트하고 시험하는 방식에만 집착하기 때문에 교사들은, 학교의 테두리 안에서 교육을 완성시키려고 하기 보다는 학생들이 교문을 떠난 이후의 교육을 위해 그들을 준비시킬 뿐이라는 것을 인식한 것처럼 행동하고 있지 않다.
➄ 물론 무지의 깨달음이 지혜의 시작이라는 고대인의 통찰에도 진실이 담겨 있기는 하다.
➅ 그 깨달음은 단지 시작에 불과하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➆ 그 깨달음에서 시작하여 무지의 상황에 대해 무언가를 해야 한다.
➇그리고 그에 대해 현명하게 대처하기 위해 먼저 자신의 무지에 대한 원인과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야 한다. 즉 왜 성인들에게는 교육이 필요한가? 그리고 그들이 무지에 대해 무엇인가를 할 수 있기라도 한다면 과연 무지에 대해서 무엇을 할 수 있는가? 등을 알아야 한다.
➈ 젊은들이  학교에서 배운 것이 거의 없다는 것을 깨달을 때 그들은 자신들이 공부했던 학교에 문제가 있었다고 생각한다.
➉ 그러나 사실은 가장 훌륭한 학교의 가장 훌륭한 졸업생도 가장 열등한 졸업생과 마찬가지로 항상 배움을 계속해야 하는 것이다.

[내용요약]

교육에 대한 잘못된 통념, 오해에 관한 글입니다. (소재어 : education / 주제어 : a contradiction)
배우는 학생이나, 가르치는 선생이나 마찬가지이다.
obsession (선생) - 시험등을 통한 교육의 완성 추구 강박에 시달림
awareness of ignorance (배우는 사람) - 무지를 깨닫는 것은 시작에 불과하다.
one must know something of its causes and cures - 무지인식의 원인과 해결책을 모색해야함
(빈칸) 학교에서 배운 것이 없다고 여겨, 학교탓을 한다. - 교육에 대한 잘못된 통념, 오해가 발생하는 것 (a contradiction)

결론: 학교에서의 교육은 시작에 불과하므로, 배움을 지속해야한다.


[해설]
➀ the education policy was not efficient at that point 교육정책이 그 시기에 효과적이지 않았다.
➁ that education itself is meaningless for grown ups 교육 자체는 성인들에게 무의미하다.
➂ they were too young to embrace intellectual training 너무 어려서 교육을 받아들일 수 없었다.
➃ examination systems do not help enhancing knowledge 시험제도가 지식을 향상시키지는 않는다.
➄ there was something wrong with the school they attended 자신이 다녔던 학교에 문제가 있었다.

학교에서 교육이 완성된다고 여기는 생각에 대해 반론을 제기하는 글입니다.
교육자체는 곧 무지에 대한 인식의 시작이기 때문에, 무지의 깨달음에 대한 cures (해결) 가 학교를 졸업한 이후에도 계속되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빈칸내용은 학교에서 교육이 완성된다고 여겨서, 교육에 대한 모든 문제점을 학교에 전가하는 것은 모순을 예로 들은 것입니다.



빈칸 추론의 출제 의도를 비유하자면,

누군가가 건포도가 들어있는 식빵을 여러분에게 건네주고, 건네받은 그 빵 모양을 다시 말해보라고 한다면, 전체 모습을 똑같이 그려주는 방법도 있겠지만, 그 빵 모양의 특징을 간단히 정리해서 말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빈칸추론 유형은 우리가 건네받은 빵이 무엇인지를 그려내라고 요구하는 게 아니라, 저자(글)가 어떻게 생긴 건포도(글의 소재)가 몇 개나 혹은 어떤 식으로 빵에 뿌려진 것인지(글의 논리전개)를 읽고 이해했는지를 묻는 - 다시 말해서, 글의 중심 소재와 소재에 대한 저자의 의견을 전달받았는지를 묻는-논리 이해력평가 영역입니다.

● 2011 수능은, 단일 소재의 결과 (results) 는 the quicker and easier the better (주제) 이므로
빈칸 바로 앞의 the time and energy / the results 는 주제의 비유 논리 예를 묻는 것이었으므로
the former approximates to zero and the latter to infinity 가 답이었으며,

● 2014 수능은, 비교 소재 Mathematics / Science 의 각각 특징과 한계점을 제시하고,
But those fruits are ambivalent 과학의 결과물이 이중성/ 애매함 (문제점 제기⇒ 이유)
과학의 성과 (fruits/show the benefits/speak to others/its products)는
without words / mathematized 된 방식으로 전달(attract / communicate) 하지만,
과학의 결과물이 ambivalent 한 것이 문제점이라는 주장(주제)하는데,

그 이유는
과학이 speaks to others, it is no longer science 이고,
말(words/publicist) 은 dilutes the exactness of mathematics
빈칸 rephrase 는 violating the code of intellectual conduct that defines him as a scientist

● 예시로 든 지문에서는, 단일소재 (education) 는 모순(contradiction) 이 있다는 주제이므로,

모순성의 이유를
teacher가 갖는 obsession 으로 only preparing ⇔ trying to complete education,
one (realizes how little they learned in school)
빈칸 something wrong with the school they attended
교육에 관한 모순성의 근거는 마지막 문장 one needs to continue learning every bit

수능 영어의 방향성이 ‘글의 이해’ ‘논리 추론력’ 으로 가속화하고 있는 현실 속에서,
이처럼 한글해석본이 더 ‘어렵게’ 느껴지는 난이도 있는 지문의 출제는 계속될 것입니다.
연계교재의 연계율이 높다보니 생길 수밖에 없는 부작용인 셈이지요.

하지만, 글 주제에 대한 cohesion (1지문, 1주제), rephrasing (paraphrasing) 등을
독해 공부할 때 눈여겨보는 습관을 들인다면,
오히려 난이도 있는 지문에서 새로운 재미(?)를 느끼시게 될 것입니다.

추운 겨울, 마음도 쌀쌀한 수험생이 계시다면
Paulo Coelho 의 아크라 문서라는 책의 한 줄을 공유하고 싶네요.

Take pride in your scars. Scars speak loudly than the sword that caused them.

시험에서, 경험에서 받은 상처를 아파하지 말고, 내 성장의 발판으로 삼는다면,
그 상처는 여러분의 가장 강한 방패가 되어있을 것입니다.
모두 힘내세요 ^^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유의태허준 · 463746 · 13/12/09 13:12 · MS 2013

    정말 좋은글인것같습니다. 앞으로도 좋은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참고로 풀었는데 틀렸네요ㅜㅜㅋㅋㅋ

  • divajinny · 478107 · 13/12/09 13:19 · MS 2013

    ㅎ 우선 첫 댓글 감사하고 ^^
    풀기까지 하는 성의를 보여주어 더 감사하고 ^^
    이렇게 무언가를 시작하고, 잘못하는 과정이 있어야 최고가 된다는 점 아시죠?? ^^

  • 텅텅빈머리 · 373447 · 13/12/09 13:38

    좋아요

  • divajinny · 478107 · 13/12/09 13:44 · MS 2013

    ^^

  • 미라소기롯 · 471197 · 13/12/09 13:44 · MS 2013

    닥추 ㅋㅋ

  • 우와와아아 · 464505 · 13/12/09 13:49 · MS 2013

    예시 문제 출처가 있나요? 왜 저는 납득이 안갈까요. 지문 내에서 도저히 딱 떨어지는 답의 근거를 못 찾겠네요... 젊은 어른이 얼마나 적게 배웠는가를 알았을 때 (교육 모순의 결과를 알았을 때) 원인을 빈칸 하게 (문맥상) 잘못 생각해 버리는 건데. 처음부분이 고등학교나 대학교를 졸업한(젊은 성인이겠죠) 학생들은 그 모순을 잘 모른다고 하네요. 그리고 모순이 as if절의 단지 나중 교육의 준비인 교육을 하는 걸 선생님들이 티내지 않아서 모르는 듯 하다는 내용을 넌지시 주고 주제에 관한 얘기가 나오다가 주제와 상관이 없어 보이는 곳에 빈칸이 뚫리는데, 저한테는 오묘한 문제네요. 정답의 근거가 지문 내에 명시 되어 있다고 보기에는 어려운 듯.

  • 우와와아아 · 464505 · 13/12/09 13:49 · MS 2013

    아아 이제 겨우 수능에서 벗어났는데 또 괜히 골머리 썩는중 ㅋㅋ

  • divajinny · 478107 · 13/12/09 14:07 · MS 2013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divajinny · 478107 · 13/12/09 14:10 · MS 2013

    [문제 변형 출처] Schooling Is Not Education by Mortimer J. Adler
    입니다 ^^
    ➀~➃ 문장은 교육의 모순이 교육받는 사람과 교육하는 당사자에 있음을 말하는 것이고, ➄ ~➆ 은 모르는 것을 깨달음은 시작에 불과하다는 것 내용이고, ➇ 번은 깨달음 다음에 무언가가 필요하다.
    빈칸을 뚫은 이유는 ➈ 교육받은 사람이 무언가(계속하는것)을 하지 않았다는 것을 깨닫지 못해서 오는 오류, contradiction 의 예시이며,
    마지막 ➉ 번 지문은 그런 교육에 관한 우리들의 잘못된 생각을 고치는 최선을 저자가 제안한 것입니다.
    출처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Schooling이 교육의 전부가 아니고, 스스로 터듯하는 배움을 계속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글입니다. ^^

  • 오르비쥐박령 · 422230 · 13/12/09 14:00 · MS 2012

    근데 이런 논리구조도 시험 뒤에 찬찬히 시간제한없이 뜯어보면 대부분 웬만한 실력이면 다 보이는데... 결국 또 중요한 요소는 그 시험장 안에서 주어진 시간 안에 그걸 해내느냐인듯합니다...

  • divajinny · 478107 · 13/12/09 14:09 · MS 2013

    네 ^^ 맹목적인 읽어내리기식 독해를 한다면, 늘 말썽부리는 영역이지요

  • S.Univ · 472498 · 13/12/09 14:16

    선생님 성함을 어디서 뵌거같은데...음..

  • divajinny · 478107 · 13/12/09 15:05 · MS 2013

    ㅎㅎ ^^

  • 남훈기 · 477146 · 13/12/09 14:40 · MS 2013

    v에듀서 인강찍지 않으셧나요?

  • divajinny · 478107 · 13/12/09 15:06 · MS 2013

    네 ^^ 맞습니다 ㅎ

  • dinosaur35 · 480371 · 13/12/09 17:55 · MS 2013

    정말 좋은글인 것 같아요!! 선생님!!
    무작정 해석해내려가는 것보다 이렇게 논리구조를 분석하면서 보는 연습을 하는 게 수험생들에게 매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정확하고 신속하게!!!) 앞으로도 이런 좋은 글 많이 올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divajinny · 478107 · 13/12/09 23:44 · MS 2013

    네^^ 그렇게 하지요 ^^

  • 사막별 · 470584 · 13/12/10 07:07 · MS 2013

    혹시선경어학원에계셨었나요..?

  • divajinny · 478107 · 13/12/10 08:15 · MS 2013

    아니요 ^^

  • 청초장군 · 318329 · 13/12/10 23:43 · MS 2009

    오 선생님 해설강의 들은적 있어요! 여기서 뵙게되다니 신기방기 ㅋㅋㅋ
    역시 명쾌한 설명이네요! 감사합니다~

  • divajinny · 478107 · 13/12/11 11:38 · MS 2013

    반갑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