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전개 외전 1] 문학 시간 단축 꿀팁
게시글 주소: https://w.orbi.kr/00063100625
생각의 전개 교재를 출판하고 나면, 매년 아쉬움이 남기 마련입니다.
조금 더 명확하게, 조금 더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서술할 수 있었을 것 같은데
그렇지 못했다는 아쉬움이요.
그런 내용들을 일반적으로는 강의에서 열심히 알려 주기는 하는데,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서 이제 게시글로도 남겨볼까 합니다.
이렇게 자잘한 +@의 내용들을 [생각의 전개 외전] 시리즈로 가끔씩 찾아 뵐 테니, 많이들 기대해 주세요 ㅎ
오늘의 주제는 '문학 시간 단축 꿀팁'입니다.
이름만 들어도 설레는 주제인데요. 6평 전까지 기출을 통해 조금만 연습하셔도 바로 써먹을 수 있는 내용입니다.
생각의 전개 - 문학 1권에서는 다음과 같이 운문문학의 '주제'를 강조합니다.
For 2024 피램 생각의 전개 - 문학 1권 78p 일부
수능 국어라는 시험은 결국 '독해력'을 묻는 시험이고, 이는 문학에서도 마찬가지라는 것, (물론 문학은 +@가 있긴 합니다.) 그리고 '독해력'을 묻는 데 있어 가장 기본적인 물음은 '주제를 찾았니? 그러니까 이 글이 하고 싶은 말이 뭔지 알겠니?'이고, 나아가 '시'에도 주제가 존재하기 때문에 '주제'를 정확하게 체크했는지가 핵심이 된다는 내용입니다.
사실 교재에서도 '주제'가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많이 했고, 이를 바탕으로 선지를 판단하는 것이 좋다는 내용을 많이 언급하기는 합니다. 그런데 오늘은 그 이야기를 조금 더 강조해 볼까 합니다.
극단적으로, 운문문학 문제를 풀 때 지문을 보지 않고 오직 '주제와의 연관성'만 생각하는 것으로도 선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예를 들어 봅시다. 2022학년도 수능 현대시+수필 세트입니다.
2022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 19번
현대시의 주제를 가장 잘 알려 주는 것은 <보기>입니다. <보기>가 있으면 그로부터 주제를 정확하게 체크하는 습관을 들이시는 것이 좋습니다. '초가'라는 작품의 주제는 '오래전 떠나온 고향 떠올리기', '악화되어 가는 일제 강점기의 현실 묘사'네요. 지문을 보지 않고, 이 주제만을 가지고 선지를 판단해 보겠습니다.
[A]. [B]가 어딘지 몰라도, '고향 회상'이라는 주제와 관련되어 있는 선지들입니다. 맞다고 칩시다.
화자의 '소망이 이루어진' 상황? 이 작품의 주제는 '악화되어 가는' 현실 묘사입니다. 이러한 현실에서 '소망'을 가질 수는 있겠지만, 소망이 '이루어진' 상황이라고 하는 것은 주제와 반대됩니다. 소망이 이루어졌다면 악화되어 가는 현실이라고 할 수 없을 테니까요.
'풍족한 결실을 거두지 못한 상황', 그 속에서 무언가를 지향하는 모습. 희망적인 메시지 때문에 조금 애매하기는 하지만, 어쨌든 주제를 포괄할 수 있는 선지입니다.
'가혹한 현실 상황'. 주제 그 자체입니다.
실제 이 문제의 정답은 3번이었습니다. 주제와 반대되는 선지가 정답으로 제시된 것이죠. 애초에 '주제'를 정확하게 체크하면서 읽을 수 있는지를 묻는 시험이 수능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풀이가 가능한 것입니다.
다음은 (나)의 주제를 체크하고, 관련된 문제를 풀어 보겠습니다. (나)에는 <보기>가 없기 때문에, 스스로 지문을 읽으며 주제를 체크할 수 있어야 합니다.
For 2024 피램 생각의 전개 - 문학 1권 78p 일부
피램 교재에서 언급하고 있듯이, 시의 주제는 '화자의 상황과 반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화자가 어떤 '상황'에서 어떠한 '반응'(=심리, 태도)을 보이고 있는지를 생각하며 가볍게 읽어 주시면 됩니다.
김관식, '거산호 2' (2022학년도 수능)
앞쪽만 대충 읽어도, 산을 바라 보는 '상황'에서 맨날 변하는 인간과는 달리 늘 푸르른 산이 너무 좋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나)의 주제는 '인간과 대비되는 산에 대한 사랑' 정도로 정리할 수 있겠네요. 관련된 문제 풀어 볼까요?
2022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 20번
'주제'를 중심으로 생각하면, '산'에 대한 화자의 태도를 중심으로 감상하라는 발문도 쉽게 이해되실 겁니다.
아무튼, 정답 선지인 2번 선지는 지문에서 인간과 대비된다고 했던 산을 인간의 덕성을 표면화하는 데 집중하는 잡스러운 것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주제와 반대되는 선지이기 때문에, 답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실제로 정답도 2번이었구요.
나머지 선지들을 보시면, 산의 '불변성'을 강조한다거나 죽어서도 함께 하고, 그리워하고, 지속적으로 지향한다는 '주제' 그 자체인 말들을 쏟아내고 있습니다. 지문을 볼 것도 없이 허용되는 선지들이 되어 버리는 것이죠.
그렇다면 (가)와 (나)를 함께 물어 보는 문제도 풀어 볼까요?
2022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 22번
여기서 초록색 형광펜은 '주제'와 직결되는 부분, 노란색 형광펜은 '주제'와 반대되는 부분입니다. 답이 1번이라는 건 너무나 쉽게 알 수 있겠죠?
물론, 3번 선지처럼 애매한 선지들도 분명히 있습니다. 그리고 어떠한 경우에는 '주제' 중심으로 답을 고르면 답이 2~3개인 것처럼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렇게 '주제'만을 가지고 선지를 판단하는 것은 절대로 '주무기'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시를 독해하고, '근거'를 찾아 허용 가능성을 판단하는 선지 판단의 대원칙이 '주무기'가 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주제'만을 가지고 선지를 판단하는 방법을 일종의 '선지 스크리닝'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저는 운문문학(+수필) 문제를 풀 때 '주제' 중심으로 선지를 스크리닝한 뒤, 이를 통해 답에 가깝다고 여겨지는 선지들만 먼저 판단합니다. 이렇게 확실한 정답을 찾은 뒤에 나머지 선지를 처리하면 훨씬 빠르고 정확한 선지 판단이 가능해집니다.
참고로 이 세트는 '주제' 중심 선지 판단의 위력이 엄청난 세트였습니다. 나머지 세 문제도 모두 '주제' 중심으로 답을 쉽게 고를 수 있게끔 출제되었습니다. 무려 '수능'에서 말이죠! 나머지 세 문도 스스로 찾아서 이와 같은 내용을 적용해 보면 좋겠죠?
이 글만 읽고 '오~' 하고 넘어가신다면, 무슨 야매 스킬을 배운 것 같은 느낌이 드실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여기서의 '오~'를 스스로 기출에 적용해 보는 과정을 통해 '오!'로 바꾸셔야 한다는 겁니다.
만약 제가 지금 수험생이고 이 글을 읽었다면, 당장 기출문제집 운문문학 파트를 펼쳐서 정말 많은 문제들이 이렇게 해결되는지 확인해 볼 겁니다. 몇 시간을 써서라도 말이죠.
이러한 과정을 거쳐 평가원이 정말로 '주제' 중심으로 선지를 출제한다는 것에 확신을 가지게 되면, 당장 올해 6평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실 겁니다. 이는 단순한 야매가 아니라, '수능 국어'라는 시험의 존재 목적과 직결되는 본질적인 내용이니까요.
그리고 제가 지금 수험생이고 이 글을 읽었다면, '주제' 중심 선지 판단이 가능한 사례들을 찾아서 이 게시글의 댓글로 달아 볼 것 같습니다. 남들에게 도움이 되게끔 말이죠. 남들에게 도움이 된다고 말했지만, 사실은 정리하고 설명하는 과정을 통해 본인이 가장 큰 도움을 받을 겁니다. 여러분도 그렇게 하시기 바랍니다.
'선지 스크리닝'을 통한 문학 시간 단축, EBS 외우는 것보다 훨씬 효율적이고 본질적입니다.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다음 [생각의 전개 외전]도 기대되신다면, 좋아요 댓글 많이 남겨 주세요 ㅎㅎ
이 외에 더 많은 내용으로, 제대로 국어를 공부하고 싶다면?
P.I.R.A.M 국어 생각의 전개 : PIRAM+%EC%88%98%EB%8A%A5+%EA%B5%AD%EC%96%B4+%EC%83%9D%EA%B0%81%EC%9D%98+%EC%A0%84%EA%B0%9C+2024/">https://atom.ac/books/10621
P.I.R.A.M 국어 7개년 기출문제집 : PIRAM+%EC%88%98%EB%8A%A5+%EA%B5%AD%EC%96%B4+7%EA%B0%9C%EB%85%84+%EA%B8%B0%EC%B6%9C%EB%AC%B8%EC%A0%9C%EC%A7%91+2024/">https://atom.ac/books/11077
0 XDK (+10)
-
10
-
성균관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성대25][성균관대학교 근처 카공하기 좋은 카페]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성균관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성균관대학생,...
-
인문논술재수 0
강남대 경영학과 입학예정입니다. 반수나 재수를 할경우 실패시 편입이 어려울것 같아...
-
나보다 선배형누나들 대학입학하기전에 이거하면 좋다 이런거있음?
-
이런패션이면 호임 불호임?
-
약간 동체시력 없어도 되는
-
흐흐흐흐
-
ㅇ
-
육군 추가모집으로 6월 마지막주에 입영하는거 잡으려고 하는데 그 시기에 입영하는거...
-
다 재릅해라 6
복귀하셈 인제
-
수1, 2 고2 때 자이스토리 고3 거로ㅠ하긴 했는데 실전개념을 듣기 전이라서…....
-
귀엽기만 한 게 아닌 시키모리 양이랍니다~~~~~~~~~~~❤️❤️❤️❤️❤️❤️❤️❤️❤️❤️❤️
-
생각안하고봣는데 갑자기 불안함
-
밈화된거말고도 순수노래체급도높음 특히 누누눙<<귀여움
-
님들 몇살임 대체 16
나이가 다 가짜임
-
잡초들 사이에 활짝 핀 내 뷰티 플라워
-
프미나 이채영임 걍미쳣어
-
오르비를 할수록 14
눈이 높아지고 자존감은 떨이지뮤
-
얼버기 15
-
수능 국어 ㅇㅅㅇ 구속 후 어케될꺼같음? 25는 ㅇㅅㅇ구속 전이라서 ㅇㅅㅇ 없는...
-
과외끝 8
오늘도 수고했어 나 자신 이제 텝스보러가자….
-
기출분석 전자책 1
여기서 홍보 가능해요? 써보려고 하는데…
-
나도 공병문고 만들어볼까........
-
뉴런? 심특? 스블? 요 3개중에 있으려나요 스타일이 다 다르긴하지만
-
‘ lackadaisical ‘ 열의가 없는, 귀찮아 하는
-
25수능 끝나고 빅포텐 4규 이해원 문해전 시즌2 다 풀었고 지인선n제 풀다...
-
패로인 재밌나요 7
이거 볼까 생각중인데
-
The appeals court determined that Arya's...
-
나 학생때는 세상이 참 정이 많앗는데
-
옮창들 갓생사네 1
나는 이제 일어났는데
-
김범준 스블 1
2후 ~ 3초중 정도 되는 사람이면 공통 김범준 스블 듣는거 괜찮음? 아니면 너무...
-
작년에 김상훈T 들었는데 정석민T는 어떤 스타일로 가르치시는지 궁금합니다 둘이 어떤 차이가 있나요?
-
편입논술 1차만 붙고 최종은 fucked up 팔자지요 뭐~~ P.s. 덕코좀요 굽신굽신
-
답지있나여? 답지올려주시면 정말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잠와 2
졸려잉
-
다들 오전에는 갓생을사는거겟지
-
버기입니다 3
방가
-
다른 요소도 중요하게 보시나요? 예를들어서 여자 외모가 존예고 내 취향인데...
-
알려주시면 ㄱㅅ
-
약간 호시노 루비의 깜찍함과 봇치의 똥송함을 섞은거 같음
-
구합니다. 500덕
-
책이랑 라이브반 결제하는 용..
-
님들 저 씹덕같나요 10
저 씹덕 아닌데..
-
ㅇㅈ 4
패드 거치대 개꿀
-
나는 3점 4점초반 제외 다 낯설게 느끼는걸까 물론 수학 못해서 그렇지만
-
삼수 고민 1
정시 합격하긴 했는데 지잡이라.. 쌩삼수를 할 지 아님 내려가서 대학이랑 병행하면서...
-
좃같다좃같다 16
그냥좃같다
-
팔로워목록어케봄...? 알림뜰때 바로팔로우해야하느거임...?
-
수2 자작문제 9
피드백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첫 정답자는 선물 드립니다!
-
설정외 삼육약 설윤교 설정외분만 붙어도 희망은 있네요 ㅠㅠ 최초합중에 미점공자 3명...
와우 좋은 팁 감사합니당
지문을 읽기 전 보기를 먼저 보는 건 알고 있는데 선지까지 함께 훑어보고 지문에 들어가도 되나요?
네 그렇게 해 보자는 것이 이 글의 취지입니다!
몇개 해봤는데 진짜 몇몇문제 바로 적용되네요! 감사합니다 역시피램...
통찰력에 감탄하고 갑니다. 바로 적용해보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