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오르팀] 촛불 퀴즈
게시글 주소: https://w.orbi.kr/00065462525
안녕하세요.
피오르 컨설팅 팀에서 총괄 팀장을 맡고 있는 황지협이라고 합니다.
수험생 여러분들 모두 수능 치르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이렇게 글을 쓰게 된 이유는 촛불 이야기와 입시이야기,
그리고 컨설팅의 활용에 대하여 말씀드리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촛불 이야기
갑자기 무슨 촛불이야기인가?
다름이 아니라, 퀴즈를 내기 위함입니다.
저번 주에 학교협동조합을 대상으로 강연을 할 때의 에피소드입니다.
당시 초등학생에게 받은 질문치고는 꽤나 재밌었던 경험이기에 가져온 이야기인데요.
자, 첫 번째 질문입니다.
겉불꽃의 온도가 높을까요? 속불꽃의 온도가 높을까요?
.
.
.
.
..
.
.
.
.
.
.
.
.
.
.
.
.
.
.
.
.
네 맞습니다. 겉불꽃의 온도가 더 높습니다. 초등학교 6학년 연소시간에 배우는 내용이죠.
자, 이번에는 두 번째 질문입니다.
푸른색의 온도가 높을까요? 붉은색의 온도가 높을까요?
.
.
.
.
..
.
.
.
.
.
..
.
.
.
.
.
.
.
.
.
.
푸른색의 온도가 높다고 분명히 과학시간에 배운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겉불꽃의 색깔은 무슨 색인가요?.
.
.
.
.
.
.
.
.
.
.
.
.
.
.
.
.
.
.
.
.
우리는 겉불꽃의 색깔이 붉은색이고 속불꽃의 색깔이 푸른색이라는 것 역시 알고 있습니다.
.
.
.
이러한 인지적 갈등은 천체물리에서 별의 온도를 측정할 때의 개념이 잘못 혼용되어 발생하게 됩니다.
한 가지 에피소드만 더 말하고 입시이야기로 넘어가보겠습니다.
작년 한 지방의 대학교에 강사로 출강을 한 적이 있습니다. 그 때, 수행했던 실험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드리겠습니다. 아래의 사진은 퍼온 것입니다. (당시 대학생들과 실험했던 사진을 찍어두질 않았네요..)
이는 수면 위에서 타는 촛불에 컵을 덮어씌우면, 촛불이 꺼지고 수면이 올라가는 단순한 실험입니다.
예전 초등학교 교과서에는 연소에 사용된 산소의 빈 자리만큼 물이 빨려 올라갔다는 내용이 실려있었습니다.
한편, 실제로 컵 내부의 공기 성분을 조사해보니, 여전히 산소의 비율은 크게 줄어들지 않았고,
오히려 연소하는 촛불의 주변 공기 부피의 감소로 인하여 수면이 상승한다는 사실이
2000년대에 들어와서 밝혀집니다. 그리고 해당 내용이 교과서에서 삭제되었죠.
촛불이야기를 들어보면, 우리가 당연히 그러려니 했던 것에 대한 오류가 있기도 하고, 실제로 뒤늦게 지식이 수정되기도 합니다.
이제 그러면 본격적으로 입시이야기로 한 번 들어가볼까요~
-입시 이야기
저희 팀은 컨설팅을 시작하면서, 동시에 다년간의 입시 결과가 흘러가는 모습을 봐왔습니다.
실제로 컨설팅을 받았던 학생들이 각자의 재능을 살려 취업하는 모습까지도 목도하게 됩니다.
먼저, 저의 경우 17년도부터 입시 컨설팅을 해왔습니다.
지금으로부터 기껏해봐야 6년정도의 기간입니다.
하지만 그 기간 속에서도 입시시장에서는 다양한 이슈들이 발생했습니다.
한 실례로, 지금 가장 관심이 많은 당시의 의대, 치대, 한의대의 선호도는 어느 정도였을까요?
실제 17년도 컨설팅 사례들을 보면, 연고대 공대를 갈 수 있는 성적이면 한의대나 치대를 같이 지원했습니다.
사라진 서남대학교 의예과의 경우에는 매번 의대의 꼬리를 담당하고 있었죠.(지역인재 전형을 제외하고)
수시에서도 치대나 한의대의 경우 내신 2점대의 합격자들이 다수 발생하였습니다.
의예과에서도 최저학력기준이 4합5로 높은 곳의 경우 매년 3점대의 합격자들이 나왔습니다.
지금 졸업하여 사회에 나오기 시작하는 16, 17학번의 학생들은 연고대와 치대, 한의대를 명확히 고민했습니다.
한편, 최근 2~3년간 더 이상 이러한 꼬리합격자들이 정시에서도 수시에서도 나오질 않고 있습니다.
또한 약대 수의대마저 연고대와 성적 격차를 벌려가고 있죠.
다음으로, 일반학과에서도 컴퓨터공학과가, 전(기전자), 화(생공), 기(계)를 제치고 독보적으로 올라온 것 역시 최근의 일입니다.
이공계 공대의 서열은 이전까지 전화기라는 명실상부한 이름으로 자리를 지켜왔습니다.
그러나 4차산업혁명과 같은 키워드가 휩쓸고 지나가면서, 컴퓨터공학과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및 보안, 통신과 관련된 학과들이 신설되기에 이릅니다.
그리고 이들은 지금 전화기 위에서 입결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더 멀리서 입시를 보게 된다면, 특히 학부모님들 세대는 공감하실 점이 많을 겁니다.
90년도 당시의 국립대의 위상이 대단했고, 2000년대 초반에 허준 드라마가 유행하던 시절만 해도 한의대는 의대 입결을 앞질렀습니다.
16년도 즈음에는 교대 성적이 피크일 때 입학한 학생들이 지금 초임교사로 임용되어 교권 침해 이슈를 맞이할지 몰랐을 것입니다.
나아가 취업시장으로 넘어가면, 공무원 경쟁률이 최근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다는 기사를 접하실 겁니다.
반면, 로스쿨, CPA(회계사), CTA(세무사)등 전문직 경쟁률은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이렇게 입시이야기 나아가 시장까지 살펴보면, 시간의 흐름 속에서 한 시점에 당연시 여겨졌던 것들이 변하기도 하고, 뒤늦게 수정되기도 합니다.
-컨설팅의 활용
여러분은 쉬지 않고 졸업을 하더라도 2028년, 군대를 다녀오는 경우, 2030년도에 사회에 나가게 됩니다.
그리고 대학이 라이센스로써 역할을 다할 때 즈음에서야 여러분은 새로운 시장에서 평가를 받게 될 것입니다.
이 글이 ‘앞으로 미래는 모르니까 소신대로 원서지원을 하시면 됩니다.’를 말하기 위함은 아닙니다.
단, 당시에 의심하지 못한, 굳건하게 믿고 있는 것들이 과연 영원할 것인가에 대하여 한번 생각해볼 여지를 줍니다.
이는 지금, 즉 현재에도 적용되는 말입니다.
물론 갑자기 통일이 되어 김일성종합대학이 한국의 최고 대학이 되고,
서울대가 지거국 취급을 받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간 서울대라는 가상의 실재가 점유해온 영향력은 쉽게 사라질 수 없기 때문입니다.
또한 의대 정원 20배 증가로 인하여 간호대가 의대 입결을 앞지르는 것도 개연성이 부족합니다.
그러나 앞으로 교육부에서 진행하는 의대 정원 증원은 분명히 연쇄적으로 최상위권 입시에 영향을 줄 것입니다.
물론, 미국의 경우에 소득 상위 10위의 직업에 여전히 의사들이 대거 점령하고 있는 사실을 보면,
향후 나라가 발전하더라도 의대 입결이 드라마틱하게 변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즉, 시간의 흐름에 다양한 요소들이 입결을 변화시킬 것입니다. 여기에는 나라의 요구, 기업의 요구, 사회의 불확실성등이 있을거구요.
반면, 학생들은 교과서에 실린 논란의 여지가 없는 지식들에 대하여 학습을 해왔습니다.
수시지원을 할 때도 주변의 친구들을 확인해보시면,
당장 작년의 입시결과 나아가 2년전의 입시결과 수준에서 탐색을 멈췄을 것입니다.
그리곤 그 결과값들이 진리인 양 생각했을 것입니다.
컨설팅에서도 펑크나 폭발을 단순히 예측하고, 표본에 대하여 이해를 높여서 가는 것도 중요합니다.
하지만 그 한편에 시간의 이격을 함께 고민하는 것도 현명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 현장에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거나 ‘새로 생길 이슈’
혹은 2030년에 다른 방법으로 ‘목적지에 도착하는 방법’등 매수할 주식이
지금 저점인지, 고점인지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얻어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입시에 도움이 되는 글 모음]
https://orbi.kr/00065216335 : 유인우 - [입결표] 20~23학년도 메디컬,문이과 주요대학 추정 입결표
https://orbi.kr/00065221190 : 유인우 - 24학년도 정시 주안점
https://orbi.kr/00065232324 : 군툰문 - 불수능과 표본분석
https://orbi.kr/00065277552 : Cogito - 표준점수, 누적백분위, 펑크, 폭발
https://orbi.kr/00065300256 : Cogito - 표본의 이동방향, 대체학과, 기피학과
https://orbi.kr/00065251112 : 정시기다리는 - 변환표준점수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65410392 : 종냥 - 2024학년도 메디컬계열 정시 지역인재 칼럼
https://orbi.kr/00064084053 : 종냥 - 메디컬 입시요강을 볼 때 확인할 4가지 포인트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어떻게든 되겟지
-
수시는 0
재능 노력 운—— 3:6:1 느낌이라면 정시는 재능 노력 운—— 4:3:3 이런 느낌인듯
-
안녕하세요. 9등급을 1등급으로, 91로(路) 영어 연구소 소속 영어강사 Good...
-
뭔가에 씌여서 사리분별이 흐려지는 그느낌이 싫어
-
제발 같다고 해줘
-
맞팔구함(장점있음) 11
내가 애호해줌
-
안녕하세요. 이번 26수능 응시하여 한의대 입학하고자 하는 02년생입니다. 고교...
-
아 이제 어케 살지
-
영남의 0
영남의 지역인제 컷 몇정도인가요? 추합 예측까지 합쳐서요… 제가 점공을 못봐서...
-
올해 1학기만 하고 입대 vs 1학년 끝나고... 추천 부탁드려요 공군 준비중입니다
-
의외로 괜찮네
-
메가스터디 조교 0
친구한테 메가패스 양도 받아서 썼었는데 조교 지원서에 아이디 적어야되네ㅠ 이름이랑...
-
레어 많이삼 5
건동홍첼
-
과외 준비하면서 만든 미적분 공식 파일 공유하겠습니다. 공부하시거나 과외 하실 때...
-
내년에 설자전을 찢을 수 있을것만같은 기분이든다
-
근무 시러 1
시러시러
-
Vs 투표 ㄱㄱ
-
서울대에 가면 5
외부인들은 잘 모르는 뭔가 다른게 있을까? 약대랑 너무 고민되네…
-
통통이 자작문제 9
풀면 2000덕 증정 8시 반까지 마감
-
ㅈㄱㄴ... 시간 지날수록 환급 범위 줄어드는 거 같아서요
-
지금 매일 6시간 이상씩 유대종 인셉션 독해/문학개념어+체화서만 3회독하면서 붙잡고...
-
지리네 진짜.. 25가 쉬워서 다행이지 24면 걍
-
오픈카든 봉고든 타고 얘들이랑 바다가면서 이 노래 틀고 싶음
-
아주대 자전 추합 될수도 있을거 같고, 인하대는 최초합 했습니다 어릴때부터 비행기를...
-
여길봐도 저길봐도 공동선 신자 밖에 없네 할 때 메킨타이어 샌델 나오는거 개웃김 ㅋㅋㅋㅋㅋㅋ
-
추천해주세요 3
학교는 인천대인데 과가 경기대가 더끌려서 고민이네요..투표해주세요
-
감 잡음 6
-
통통이랑 사탐반 왜 개설 안하는거임? 통통이 비율 미적이랑 비슷하고 사탐 인원이 더 많지 않음?
-
서울대 텝스 13
서울대 추합할 것 같은데 추합 발표 이후 2/22에 응시해도 1학기 영어 수강 가능한가요?
-
덕코내놧 4
내놧
-
신입생은 추가로 제출할 자료 있나요? 결해검사지는 나중에 내면 되는건가요? 선배님들 알려주세요
-
23-25수능 비문학 다 걍 비슷한 느낌임 지문은 짧고 어렵지 않게 그대신 선지에서...
-
이제 메디컬, 서울대 목표 아니면 과탐 할 이유가 없음 이런 방식을 원한건 아니다.
-
당장 안경부터 바꾼다
-
덕코 좋은 말로 할 때 줘라 뒤져서 나오면 10덕당 한 대야 아랏서?
-
ㅌㅈㅇㄹ 6
캬캬캬
-
강의수 적은 문학강의 추천해주세요ㅠㅠ 메가 대성 둘다 패스 있습니다
-
이히히히히히 0
이히히히히히히히히히히히히
-
흐흐 0
재밋다능
-
나도 덕코조 3
아잉
-
부모님이랑 갈등이 있고 2주동안 놀았는데 원래 컴퓨터 게임은 쳐다보지도 않고...
-
ㄹㅇ
-
똑같은 거 한번 더 올려서 죄송합니다. 많은 분들 의견이 궁금해서.. 올해는...
-
가천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가천대 25학번] [지하철 등굣길]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가천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가천대학생들을 돕기...
-
만덕ㄱㅇㄷ인데 6
덕코 편의점 기프티콘으로 교환가능한거맞죠?
-
맞팔구 4
처움임!!
-
귀엽찌
그래서 겉불꽃이 더 온도가 높은데 정작 불꽃색은 빨간색인 이유가 뭔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