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점수에 대한 원론적인 이야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5483107
크럭스컨설팅 12월 11일(월) 올해 마지막 정시예약
크럭스 (orbi.kr) <<<<<<<
안녕하세요 [Crux] 환동입니다.
앞서 이번 수능의 정답률을 분석하며 제가 예상하는 등급컷을 Crux 공식 계정을 통해 알려드렸습니다.
그런데 예상 등급컷을 공개해도 더 디테일한 정보를 물어보시는 분들이 많은데, 사실 거기보다 더 깊게 들어가면 이제 예상이 아니라 점을 치라는거나 마찬가지고... 제 예측에 따라 실제 결과가 좌우되는 것도 아닙니다. 불안하신 마음들은 이해하지만 이제 성적표 나오기까지 8일 정도 남았으니 그때까지만 기다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수능 성적표가 나오기까지 표준점수에 관해 설명하는 글을 올리려고 합니다
이번 수학 시험에서 미적분이 상당한 난이도로 출제되어서, 이것이 표준점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현행 국어/수학에서 도대체 표준점수가 어떻게 산출되는 것인지 자세하게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1편] '표준점수에 대한 원론적인 이야기'에서는 국어/수학 표준점수 산출 방법을 본격적으로 다루기 전에 표준점수에 대한 기본적인 이야기를 먼저 하려고 합니다. 따라서 여러분들이 보고 계시는 이 글에서는 아직 국어/수학 표준점수 계산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지 않습니다.
[2편] '현행 국어/수학 표준점수 산출'에서 본격적으로 국어/수학 표준점수 산출 방법에 대해 설명할겁니다. 먼저 기본적인 원리를 설명한 다음에 응용 공식(Ax+By+C)에 대해서 A, B, C가 어떻게 결정되는지까지 설명해드릴 예정입니다. 이게 한 편 분량 내로 쓸 수 있을지는 모르겠으나, 글을 써보고 많다고 생각되면 두 편으로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 글을 써보니 분량이 많은 것 같아 두 편으로 나누기로 했습니다.
[2편]에서는 국어/수학 표준점수 산출 원리에 대해 설명하고, [3편]에서는 응용 공식(Ax+By+C)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였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4편] '2024수능 미적분 만점 표준점수 계산 시뮬레이션'에서는 저의 미적분 만점 표준점수 예상치에 대해 리뷰하려고 합니다. 제가 미적분 만점 표준점수 예상치를 151점으로 내놨는데, 업체에서도 가장 높게 내놓은게 148점이라 무슨 말같지도 않은 소린가 싶으신 분들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사실 저도 만점 표준점수 예상치를 내놓았을 때 그렇게 구체적으로 따져보진 않았습니다. 미적분이 올해 4월 학평을 연상케하는 역대급 난이도였고, 그만큼 확통과 기하와 표준점수 차이가 매우 크게 벌어질 것 같기에 미적분 표준점수를 확 올려친 것일 뿐이라, 실제로 정말 말 같지도 않은 소리가 될 수도 있습니다.
어쨌든 과연 이 올려치기가 타당했는지에 대해 4편에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렇다면 지금부터 본격적으로 표준점수의 원론적인 이야기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Ⅰ. Z값 (Z점수)
표준점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Z값에 대해 이해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Z값이란, 내 점수가 평균보다 표준편차의 몇 배만큼 높은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서, 위 표와 같이 평균이 50점이고 표준편차가 20점인 시험이 있다고 합시다.
만약에 이 시험에서 70점을 받았다면 평균보다 20점이 높습니다.
그런데 20점은 표준편차의 몇 배인가요? 1배죠? 따라서 70점일 때 Z값은 1이 됩니다.
90점을 받았다고 하면 평균보다 40점 잘 본 것인데, 40점은 표준편차의 2배입니다. 따라서 90점일 때는 Z값이 2가 되겠네요.
반대로, Z값이 음수가 될 수도 있습니다.
이 시험에서 25점을 받았다고 해봅시다. 그렇다면 평균보다 25점이 낮은 상태입니다. -25를 표준편차인 20으로 나누면 -1.25이기 때문에 25점일 때는 Z값이 -1.25가 됩니다.
그렇다면 딱 평균 점수인 50점을 받았을 때 Z값이 0이 되는 것도 당연히 추론하실 수 있을겁니다.
제가 이후에 글을 서술할때 Z값보다는 Z점수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할텐데, 둘이 같은 뜻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Ⅱ. 표준점수 기본
수능에서 표준점수는 쉽게 말해서 Z값을 뻥튀기 시킨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고1~2 국어, 수학은
Z=0일 때(그러니까 딱 평균일 때) 표준점수가 기본으로 100점으로 주어지고,
Z점수 1점당 표준점수 20점으로 환산됩니다.
예를 들어, 평균보다 1.5표준편차만큼 잘 본 경우는 표준점수가 20×1.5 + 100 = 130점이 나오게 될겁니다.
물론 평균보다 점수가 낮은 경우에는 Z값이 음수가 되기 때문에 표준점수가 100점 아래로 내려가게 되겠죠?
고3 국어, 수학은 공통+선택 체제라 좀 더 복잡합니다.
20Z를 배점 비율에 따라 공통, 선택으로 분리해서 점수가 산출됩니다.
공통과목의 Z값은 위에서 산출하는 방법이랑 비슷해서 별로 설명할건 없는데, 문제는 선택과목의 Z입니다. 선택과목의 Z값은 산출된 후에 조정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여기서 설명하기엔 복잡한 내용이니 다음 편에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탐구는 아무래도 원점수가 50점 만점이다 보니 표준점수도 국어, 수학에 비해 절반으로 줄어듭니다.
Z=0일 때 표준점수가 50점으로 주어지고, Z점수 1점당 표준점수 10점으로 환산됩니다.
탐구를 평균보다 1.5표준편차만큼 잘 봤다면 표준점수가 50+10×1.5 = 65점으로 주어집니다.
국어, 수학에서는 이 조건에서 표준점수가 130점이 나왔는데, 탐구에서는 정확히 절반으로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표준점수를 결정하는 것은 Z값이고, Z값을 결정하는 것은 평균과 표준편차입니다.
결국 표준점수는 평균과 표준편차에 의해 결정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는 평균과 표준편차가 표준점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Ⅲ. 평균과 표준점수의 관계
먼저 평균과 표준점수의 관계를 말씀드리겠습니다.
표준편차가 같다고 가정하면, 평균이 낮을수록 표준점수가 높아집니다.
예를 들어서, 수학 시험을 봤는데 (공통+선택 체제가 아니라고 가정합시다)
A모의고사에서는 평균이 50점, 표준편차가 25점이고
B모의고사에서는 평균이 45점, 표준편차가 25점이라고 해봅시다.
A모의고사와 B모의고사에서 모두 84점을 받았다면 어느 쪽이 Z점수가 더 클까요?
A모의고사에서는 평균보다 34점 잘 봤고, 이를 25로 나누면 Z점수가 34÷25 = 1.36이 될겁니다.
그런데 B모의고사에서는 평균보다 39점 잘 본 것이기 때문에 이를 25로 나누면 Z점수가 39÷25 = 1.56이 됩니다.
따라서 A모의고사에서 표준점수는 100+20×1.36 ≈ 127점
B모의고사에서 표준점수는 100+20×1.56 ≈ 131점
따라서 같은 84점이더라도 B모의고사에서 A모의고사보다 표준점수가 높게 나옵니다.
평균이 낮을수록 모든 원점수에 대해 Z값이 증가하기 때문에 평균이 낮으면 표준점수가 올라가게 됩니다.
Ⅳ. 표준편차와 표준점수의 관계
이번에는 표준편차와 표준점수의 관계를 말씀드리겠습니다.
평균이 같다고 가정하면, 표준편차가 작을수록 표준점수의 증가/감소폭이 커집니다.
아까와 비슷하게 평균이 같고, 표준편차만 다른 상황을 가정하도록 하겠습니다.
A모의고사에서는 평균이 50점, 표준편차가 25점이고
C모의고사에서는 평균이 50점, 표준편차가 22점이라고 합시다.
A모의고사와 C모의고사에서 모두 80점을 받았다면 어느 쪽이 Z점수가 더 클까요?
두 경우 모두 일단 평균보다 30점 잘 본 건 똑같습니다.
그런데 표준편차가 A는 25점, B는 22점이니 제수(a÷b에서 b)가 다르겠죠?
A의 경우, 30에서 25를 나누기 때문에 Z점수는 1.2가 되고
C의 경우, 30에서 22를 나누기 때문에 Z점수는 1.3636... 정도가 됩니다.
따라서 A모의고사에서 80점을 받았다면 표준점수가 100+1.2×20 = 124점으로 환산되고
C모의고사에서 80점을 받았다면 표준점수가 100+1.3636×20 ≈ 127점으로 환산됩니다.
C에서가 A에서보다 표준점수가 높게 나왔네요
그런데 이게 다른 점수에서도 그럴까요?
만약 두 시험에서 모두 30점을 받았다고 해봅시다. 두 경우 모두 평균보다 20점이 낮습니다.
A의 경우, -20에서 25를 나누면 Z점수가 -0.8이고
C의 경우, -20에서 22를 나누기 때문에 Z점수가 -0.9090...이 됩니다.
따라서 A에서 0점을 받았다면 표준점수가 100-0.8×20 = 84점으로 환산되고
C에서 0점을 받았다면 표준점수가 100-0.9091×20 ≈ 82점으로 환산됩니다.
이 경우는 오히려 A에서 표준점수가 높게 나왔네요
어차피 평균이랑 같은 점수를 받았다면 표준편차가 얼마든간에 표준점수가 100점으로 똑같겠지만
평균보다 높은 점수를 받은 경우에는 표준편차가 작을수록 Z점수가 더 큰 폭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표준점수가 더 높아지게 됩니다.
그러나 평균보다 낮은 점수를 받은 경우에는 표준편차가 작을수록 Z점수가 더 큰 폭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표준점수가 더 낮아지게 됩니다.
평균보다 낮은 점수를 받으신 분은 이 글에 관심이 없을 듯 하니, 여러분 기준으로 설명을 드리자면
여러분은 표준편차가 작아져야 더 높은 표준점수를 받으실 수 있게 됩니다.
편의상 평균 이야기를 때는 표준편차가 같다는 가정을 했고, 표준편차 이야기를 할 때는 평균이 같다는 가정을 했는데
여러분이 직접 임의로 두 시험을 선택해서 비교하면 평균과 표준편차가 모두 다른 것이 일반적입니다.
즉, 일반적으로는 평균과 표준편차가 적절히 조화를 이루어서 표준점수가 결정됩니다.
평균이 더 낮아도 표준편차가 크면 표준점수가 생각보다 안 나올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평균은 높은데 표준편차가 작은 경우가 있을 수도 있겠죠? 이런 경우에는 꽤 만족스러운 표준점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표준점수가 증가하는 최적의 조건은 당연히 평균과 표준편차가 모두 작을 때입니다.
Ⅴ. 현행 국어/수학에서 표준점수 계산법? (2편 예고)
고1, 고2의 국어/수학 시험과 고2, 고3 탐구 시험은 평균과 표준편차만 알고 있다면 지금까지 설명한 방식대로 표준점수를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공통+선택 체제인 현행 고3 국어/수학은 표준점수가 그렇게 쉽게 계산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위와 같은 방법으로 미적분 선택자의 표준점수를 계산하려고 할 때, 공통과목 원점수, 선택과목 원점수 외에 다음과 같은 6개의 통계량이 관여합니다.
(1) 모든 수험생의 공통과목 평균
(2) 모든 수험생의 공통과목 표준편차
(3) 미적분 선택자들의 공통과목 평균
(4) 미적분 선택자들의 공통과목 표준편차
(5) 미적분 선택자들의 선택과목 평균
(6) 미적분 선택자들의 선택과목 표준편차
(1), (2), (5), (6)은 수치가 작을수록 표준점수가 높게 산출되며, (3), (4)는 수치가 클수록 표준점수가 높게 산출됩니다.
현행 국어/수학이 팀전인 이유가 사실상 (3)~(6)에 있는건데, 구체적으로 이것들이 표준점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요? 다음 시간에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편] 표준점수에 대한 원론적인 이야기
[2편] 현행 국어/수학 표준점수 산출 원리 (1)
[3편] 현행 국어/수학 표준점수 산출 원리 (2)
[4편] 2024수능 미적분 만점 표준점수 계산 시뮬레이션
크럭스컨설팅 12월 11일(월) 올해 마지막 정시예약
크럭스 예약 페이지 : 여기 클릭하시면 됩니다.
https://ipsi.orbi.kr/consult/crux2024-regular#consult_page3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과연 좋은걸까.
-
행렬 행렬식 0
행렬의 행렬식 구할때 가우스 소거법으로 0좀 만들어서 행/열 기준으로 여인수 전개로...
-
사탐런 하는데 한지가 젛나요 세지가 좋나요? 완전 꼼꼼한 스타일은 아니긴 한데...
-
현역 고3입니다 치대를 지망하긴 하는데 국어가 많이 부족하고 전체적으로 많이...
-
서울에 카포에라 강습소가 많은데 일이 많다보니 카포에라 못해서 아쉽...
-
홍다희 0
홍다희
-
자야되는데 1
잘자
-
악어오름 이사람이 스텝1 막히면 아이디어 풀수강 하라는데 그러면 너무 오래걸리지...
-
연락주기 6
친구 썸 연애초기 중기 후기 다 말해보셈 궁금
-
호감저격이 아니고 진짜 저격이더라 ㅇㅇ 닉언 ㅈㄴ한다고 욕먹음ㅋㅋㅋ 그래서 그때부터...
-
어벤저스 일 하느라 바빠서 그런거던데 흠..그러다 죽은 분들도 있어서 지금도 1이...
-
호감 저격 뭐임뇨이;;
-
내가 매일 백수 시간대에 와서 사람이 없었구나
-
월드투어 중이라 바쁘다네
-
안읽씹 3
저는 못해요 알림 떠 있는거 못참음요...
-
끼얏호우 0
내일만 출근하면 사실상 주말!!
-
흠,,,, 0
어머님들은 왜 카톡을 읽씹을 하실까,,,,
-
관심있는애 0
재수생임 재수학원에서 급식신청가능함 근데 그 친구가 나랑 급식안먹는 날이 겹치더라...
-
1. 일중 2. 상중 3. 아웃오브안중 당연한 얘기지만 손가락 부러져도 답장하는데...
-
https://orbi.kr/00072763096
-
안녕하세요 :) 오늘 다뤄볼 주제는 N제입니다. N제를 어떻게 활용할까요? 그...
-
딱 물리할거같고 커뮤할거같은 관상임
-
가재맨이 뭐죠 3
가재?
-
굳이 맞죠?? 할거면 그냥 회차별로 되어있는 n제 푸는게 맞는거 같은데
-
난 상대방한테 100퍼센트 맞춰줘야 친구 해줄까말까이기 때문임...
-
선분은 무한히 많은 점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선분의 길이가 1이라면 1을 무한으로...
-
ㅁㅊㅋㅋ 2
가재맨 오르비 고닉 저격글 읽고 잇다는 글 보고 들어가봤는데 진짜네 ㅁㅊ 이왜진
-
스블 필기노트 받았는데 강의 안보고도 필노만으로 복습하기 충분한가요??
-
야구 이겼다 1
크아악
-
실친 3명이랑 맞팔해놔서 앞담화임
-
지방러라 하루에 딱 몰아버리고 싶은디..ㅠ
-
연애하고 싶다 3
대학가면 할 수 있겠지.
-
읽고 할 말 없었구나 생각 드는거지
-
이런 ㅁ친~
-
어차피 광고 카톡밖에 안와 ㅠㅠ
-
자컨 보다보니까 예지가 제일 이쁘네 웃을 때마다 미치겠음
-
안읽씹하는건 1
버그로 알림이 안가는거거나 연락을 하기싫은거아닌가
-
화요일 공강이라 6모 신청했었는데 6모가 수요일로 미뤄졌네요 수요일에 강의가 많이...
-
제발 서양이나 외국 문학 내줘라 LEET 초창기에 맥베스(윌리엄 셰익스피어),...
-
이미 과 아싸에 화석이었는데 우연히 남후배랑 같은 수업 듣게 됨... 걔도 어느...
-
매일 서바 2회 푸는데 평균 93~96 뜬단 말임 진짜 괜찮은 점수인 거 아는데...
-
얼탱이가 없노
-
휴학하고싶디 0
어어어엉ㅇ
-
현재 시발점, 쎈 하는 중인데 끝나고 뭘 해야 할지 감이 잘 안 잡힙니다… 시발점...
-
맞춤법도 좀 틀려있고 저퀄인 것 같기는 한데
-
저 분은 친구가 3
가붕이노 ㅋㅋㅋ
-
젖지대머리 3
내 저녁밥친구 젖지
-
서울대 가고싶다 1
나도 꿈 좀 이뤄보자
-
가재맨 14
어쩌다가 가재맨이 떠서 잠깐들어갔는데 오르비 고닉 저격글 읽고 있네요 ㅋㅋㅋㅋㅋ
개추
통통이는 황럭스 컷만 믿고 있읍니다
대학가려면 선택과목끼리 팀전해야 하는 킹한민국 ㄷㄷ

ㅈ됬다.. 언매 평균보다도 점수 낮아서 큰일이네ㅠㅠ언매 표준편차 크고 공통은 표준편차 낮았으면 좋겠네
불합리한 제도인 것 같네요..
3. 평균과 표준점수의 관계 항목에서 두번째 줄 마지막 부분에 표준편차라고 오타나신거 같아요!!
두번째 줄이라면
"표준편차가 같다고 가정하면, 평균이 낮을수록 표준점수가 높아집니다."
여기 말씀하시는건가요?
죄송합니다... 잘못본거같아요
괜찮습니다
솔직히 저도 쓰면서 이 둘이 많이 헷갈리긴 했어요 ㅋㅋ
최저 맞추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