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지문을 어떻게 읽어야 할까?(국어 공부법)
게시글 주소: https://w.orbi.kr/00068801533
안녕하세요. 오늘은 국어 지문을 어떻게 읽어야 할지 모르겠는 분들을 위해 저의 방식을 설명해드릴까 합니다. 사실 국어는 "이해"하면 모든 게 해결됩니다. 하지만 "이해" 어떻게 하는지 굉장히 추상적이고 어렵죠. 그래서 저의 방식을 소개할까 합니다.
일단 문학이든 비문학이든 공부할 때 "천천히" 읽어야 합니다. 시간이 부족한 것 같은 여러분들의 마음 충분히 이해합니다. 하지만 생각이 따라가지 못 하는데 눈만 먼저 앞서가면 진짜 just "읽기"만 한 상황이 발생하고 오히려 시간을 버리게 됩니다. 천천히 읽어야 제대로 이해하고 사고력이 늘어납니다. 음식도 너무 빨리 먹으면 제대로 소화도 못하고 체하잖아요.
두 번째는 상상해야 합니다. 아무래도 "글 자체"보다는 보는 게 이해도 잘 되고 머리 속에 남지 않겠어요? 같은 지문을 글로 읽는 것과 유튜브 영상으로 보는 것 중 뭐가 더 이해가 잘 되고 끝났을 때 머리 속에 남을까요? 유튜브 영상이잖아요. 그래서 글을 읽을 때 상상해서 유튜브 영상을 본 것과 같게 해주라는 말입니다.
세 번째는 단어 자체를 추론하고 이해해보는 것입니다. 문학에서 녹음(푸르고 울창한 수풀)이 나왔다면 만약 단어를 모르더라도 "녹? 녹색? 약간 자연느낌나는데"하며 충분히 추론하고 이해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특히 비문학과 고전문학에서 도움이 될 것입니다. 비문학에서는 이해를 도와주어 정보를 암기할 필요가 없도록 해주고 고전문학에서는 상황을 이해할 때 도와줍니다.
비문학 공부법 먼저 얘기해보겠습니다.
첫 번째로 호기심을 갖고 질문해야 합니다. "강의식 수업보다 참여형 수업이 이해, 기억 측면에서 더 좋다" 많이들 들어보셨죠? 비문학도 똑같습니다. 호기심도 가져보고 의심도 해보고 질문도 해야 글을 더 깊게 읽을 수 있습니다. 정보량도 줄어들고요. 그리고 학업과 별개로도 이런 식으로 생각을 많이 하다 보면 살면서 어딘가 도움이 되지 않겠나요.
두 번째는 나만의 언어, 예시를 만들어 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법 지문을 읽고 있다면 해당 법과 관련된 예시를 만들어 보거나 어려운 법률 단어라면 나만의 언어로 나름대로 이유를 붙여 보는 거죠(틀려도 됩니다. 이걸 하는 이유는 머리 속에 더 깊게 박아 놓기 위해 하는 거니까요.) 이러면 이해에도 도움이 되고 정보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세 번째는 내가 이해했나 알아보는 방법입니다. 바로 "내가 이 지문을 강의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를 생각해보고 실제로 강의를 해보세요. 주변 사람들한테 할 필요도 없습니다. 그냥 혼잣말하거나 혼자 강의하듯 풀어보세요. 그러면 내가 이해했나 안 했나 스스로 느낄 수 있을 겁니다.
이제 문학 공부법을 얘기해보겠습니다.
첫 번째이자 사실상 전부입니다. 바로 "내가 문학 속 인물이 된다"입니다. 그리고 "무엇을 보고 있는지", "무엇을 느끼는지", "어떤 상황인지" 등을 "받아들이면"됩니다. 내가 인물이 되었다고 생각하고 읽는 것과 그냥 시험 공부하는 제3자로 읽을 것은 받아들이는 수준이 다릅니다.
두 번째는 사소한 TIP입니다. 혹시 문학을 읽다가 갑자기 이상하고 이해가 안 간다고 느껴진다면
"내면<=>외부세계 이동이 있었나?", "느끼던게 달라지거나 느끼는 강도가 달라지나?" 정도 등을 고려해보면 나름 도움이 될 겁니다. 특히 "내면<=>외부세계 이동이 있었나?"이건 엄청 중요합니다. 무언가를 보다가 회상한다던가 생각에 잠긴다던가... 그리고 내면이 나올 때는 매우 중요하겠죠.
나름대로의 공부법에 대해 얘기해봤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 달아주세요. 그리고 해당 공부법을 이용해서 지문해설하는 게시물도 올려볼까 합니다. 궁금한 지문, 해설을 원하는 지문 언제든지 적어주세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청주=뉴시스] 김재광 기자 = 한국교원대학교 새 마스코트가 '청라미'로 결정됐다....
-
널따라 내머리도 노란 브릿지이이 이름도 성도 몰라요 용기내 훔친 첫키스 앵두같은...
-
생2 하는데 못해먹겠음... 원과목은 아마 안할거고 화2는 에바 같은데 물2...
-
담요가 있어야겠구나
-
약대 vs 연대 8
제 자랑스런 동생이 둘중에 고민하는 중인데 어디가 더 좋으려나여
-
오르비 특 3
내가 안 올 때는 글 왕창 쌓여 있는데 내가 하고 있을 땐 글이 잘 안 올라옴
-
수능때 만점맞은 과목도 지금 풀려고 하면 좀 저는데 이러면 과외하면 안되겠죠...
-
뇌 녹여야지 2
그럼 가벼워지겟지 빨라지겟지 ㅎㅎ
-
썼으면 먹는 판 진학사가 이럴 줄 알았으면 나도 수능볼걸 그랬나
-
으응
-
왜 조발을 안해도 올해인데!!!! 작년 재작년 잘만 해왔잖아!!!!!
-
가능성은 없음?
-
넘 빨리 자면 별로
-
서울 사는데 ,정시 일반 추합으로 전북의, 대가의 둘다 합격 가능할거 같은데 둘다...
-
왜이래 ㅋㅋㅋㅋ
-
역시 극복이 쉽지 않네요 완벽한 사람이 되는 건 참 어려운 일 같아요
-
으휴
-
ㅇㅇ?
-
도대체 뭘 해야 됩니까
-
-킹받는 리카 2
-
카페나 밥집이나 길거리에서 옆테이블, 옆옆테이블 아니면 저 구석테이블 사람들 하는...
-
ㅈㄱㄴ
-
“커피값이면 부담 가능”? 60여개 대학 등록금 인상…학생들, 설문조사·간담회로 반발 11
올해 등록금을 인상하는 4년제 대학이 60곳을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다. 전체 4년제...
-
자지말까 11
좀 이따가 잘까
-
패스뭐사지 1
대성사야되나 어차피강의안들을거같은데 원준햄이대성으로왔으면좋겠다
-
행복(幸)이라는 단어가 돈(¥)를 포함하는 것은 어째서일까요. 13
선 하나를 뽑으면 괴로움(辛)이 되는 것은 일부러 그런 건가요. 그저, 여름 내음에...
-
빨리 지나가라
-
[칼럼] 논술 전형의 경쟁자가 모두 유의미한 경쟁자일까? 0
안녕하세요. 황성찬입니다. 오늘은 “논술 전형에 허수가 많은 이유”를 주제로 칼럼을...
-
지방국립대이고요... 점공 안하는 사람들 허수가 많나요.. 아님 실수가 더 많나요..
-
강추위 칼바람 3
왜 한반도에는 구름없냐 탈모인가 바람이 다 벗겨냈네
-
예비 50번대인데 가능성 있을까요?
-
경매 눈팅하다가 뭘 잘못 눌렀는지 레어가 달려있음
-
나는 이투스 패스 있고 김민정T 언매, 이지영T 사문 빼고 다른 과목은 아예 안...
-
다 봤으면 이제 가셈
-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올해 수능 물2, 생2 준비하려고 온라인에서...
-
ㅇ.
-
갑자기 든 생각인데
-
반배정 날때 4
물리 선택자들끼리 같은 반으로 묶기도 해요? 예를들어 60명 이러면 물리 선택자수가...
-
오르비 잘자요 2
-
의뱃 확인용 4
달렸겟노.
-
고차통 vs 켄텍 17
저도 모르고있었는데 오늘이 켄텍 발표일이더라구요 아까 전화가 왔는데 켄텍...
-
강원 지역인재도 노릴 겸 약대 목표라 물1지1 스테이하려 했는데 진짜 사탐런해서...
-
한종철 철두철미 듣고있고 기출(내신대비) 병행해서 풀려하는데 한종철 기출 푸는게...
-
한국 중산층의 기준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제시하는 중위소득의...
-
에휴 잡대 수듄
-
면세대가고싶다 1
세금안내면좋은거아님?
-
ㅋㅋㅋㅋㅋㅋㅋ 이름부터 틀딱 같죠 푸흡
간단해보이는데 뭔가 핵심만 찌르고 있는거 같네요 참고하겠습니다 감사해용 +!+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