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량으로만 본 1980년대와 현재 대학 입학 난이도 비교
게시글 주소: https://w.orbi.kr/00066010122
지독히도 갈등 요소가 많은 나라입니다. 지역 갈등, 계층 갈등, 여남 갈등, 세대 갈등, 여기에 남북 대치까지...
그럴 수밖에 없다고 저는 봅니다.
세계은행 21년 통계 기준, ‘사람이 거주할 수 있는 1 제곱킬로미터 당’ 인구밀도 세계 평균은 61명입니다. 한데 대한민국은 530명이네요.
https://data.worldbank.org/indicator/EN.POP.DNST
인구 많다고 소문난 중국이 150명, 미국 36명, 일본 345명인데요. OECD 국가 중 우리보다 인구밀도가 높은 나라는 단 하나도 없습니다.
출산율 감소, 인구 감소 우려로 나라가 난리 아우성이죠? 저는 생각이 조금 다릅니다.
저는 이 모든 게 ‘자연선택 과정’이라고 봅니다. 우리가 천혜의 자원을 가진 것도 아닌데, 세계 평균보다 9배 가까운 인구밀도가 가당하다고 보시나요? 케이쥐 안에 쥐가 너무 많으면 결국 쥐끼리 먹고 먹힙니다. 그 어떤 대책이 나와도, 인구밀도는 당분간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저는 봅니다. 그게 자연법칙이기도 하고요.
어느 수험생 사이트를 보니 분노에 찬 글 하나가 보였습니다.
‘요즘 (수험생 수가 줄어서) 대학 가기가 쉽다고 하는데 꼬우냐’는 내용이었습니다.
기실, 대학 가기는 앞으로 더욱 쉬워질 것이라고 봅니다. 수험생은 줄어들 수밖에 없으니까요. 물론 대학을 나온 이후의 삶이 어떨지는 잘 모르겠지만.
다만 한 가지 이야기할 것은. 과연 대학 가기까지의 ‘과정’이 쉬워졌는가입니다.
시계를 잠시 40여 년 전으로 돌려보겠습니다.
제가 중학교 3학년이던 1980년 7월 30일, 전두환 대통령은 과외 금지 조치를 내렸습니다. 서슬 퍼런 군부 통치 시절이었지요. 자식이 과외를 하다가 걸리면 공직자의 경우, 공직을 떠나야 했지요.
저요? 행복 그 자체. 사교육을 받을 형편도 못 됐는데, 과외가 금지됐으니 할렐루야였지요.
고등학교에 진학하니, 오후 3시 50분 정도면 수업을 마쳤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고 2 때까지는 수업 마친 뒤 학교 도서관에서 2~3시간 정도 공부하고 집으로 돌아와 밥 먹고 놀았던 것이 제 일상이었습니다.
매달 있던 국영수 중심의 월례고사는 평소 실력으로 시험 쳤고, 한 학기에 두 번 있는 중간-기말고사 때는 3주 전부터 공부하는 게 그나마 공부 좀 한다는 학생들의 태도였지요.
중간-기말고사로만 평가하는 내신을 대입에 반영했지만, 실질 반영률은 미미했습니다. 15등급으로 내신을 나눴는데, 내신 한 등급 당 차이가 대학에 따라 2.5~2.6점 정도였습니다. 학력고사는 340점 만점이었고요.
즉, 3년 내내 딴 내신 한 등급 간 차이가 학력고사 1점짜리 3문제보다 못한 셈이었습니다.(당시 수학 빼고는 한 문제당 무조건 1점이었습니다.) 그러니 내신이 뭐 5등급 6등급이 아닌 이상, 학과 차이가 날지언정 서울대 가는데 내신 때문에 못 간다는 이야기는 없었습니다. 모든 게 학력고사 ‘한 방’으로 결정되던 시절이었지요.
당시는, 공부 좀 한다는 학생조차 고 2 겨울방학이 돼서야 공부를 본격적으로 시작했습니다. 그때부터는 방학 때, 하루 10시간 이상 책상에 앉아 있었습니다.
관악에 진학한 저조차 고 2 겨울방학 전까지는 시험 때가 아닐 경우 많아야 하루 3시간 공부가 고작이었습니다. 물론 ‘자발적인 공부’였기에 효율은 ‘강제적인 학원 학습’보다는 높았을 겁니다.
아해가 하나 있습니다. 지금은 교사가 된 15학번.
아해가 초등학교 5학년이 될 때까지 사교육을 전혀 시키지 않았습니다. 그냥 집에서 공부하도록 했습니다. 나도 그렇게 해서 관악에 갔으니까.
허걱. 아해 성적은 실망 그 자체였습니다. 안 되겠다 싶어서 초등학교 6학년 때부터 사교육을 시켰습니다. 이후 아해의 삶은 제 눈으로는 피폐 그 자체. 초등학교 때 이미 밤 8시 정도에 학원에서 돌아오더니, 중학생이 되면서 오후 10시 귀가.
인구밀도가 X 같이 높은 나라에서 살아남으려면 저렇게 공부해야 하는구나.
고 2, 고 3에 ‘해당하는’(아해는 검정고시 출신입니다.) 2013년, 2014년에 아해가 보인 노력은 제게는 경이 그 자체였습니다. 저는 그 나이 때 그렇게 공부하지 않았으니까.
당시 아해에게 진심으로 했던 말이 있습니다.
“네가 그 어느 대학을 가든, 아니 대학을 못 가더라도, 나는 너를 진심으로 존중할 것이다. 네가 보인 노력을 내 눈으로 보았으니까.”
요즘도 지인 늦둥이들의 입시 상담을 하는데... 요즘 학생들이 공부에 들인 노력을 보면, 저는 할 말이 없습니다. 1981~1983년에 고등학교를 다닌 제가 들인 노력으로 24 수능을 본다면? 절대로 ‘인 서울’은 불가능할 것이라고 봅니다.
언제부터 입시가 이리도 지옥도로 변했는지 저는 모릅니다. 하여튼, 1980년대는 지금보다는 훨씬 행복하고 낭만적이었습니다. 대학 가는 경쟁률 자체는 우리 때가 높을지 모르지만(84학번 학력고사 수험생은 66만8000명 정도였습니다. 90년대 초반에는 90만이 넘었지요.), 공부량은 지금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적었습니다.
1980년대에 대학에 가서, 졸업과 동시에 아무런 고민 없이 몇몇 직업을 제외하고는 ‘골라 골라’ 수준으로 취업할 수 있었던 우리 세대는 정말로 천운을 타고났던 세대였습니다.
추신.
제가 대학을 졸업하던 무렵, 마사회에서 취업 알림이 학과에 왔습니다. 누군가 마사회 취업 이야기를 하자 어느 놈 왈, “야, 마사회 가서 뭐 하냐? 말똥 치울 거여?” 지금 마사회 가려면 어느 정도 공부해야 할까요?
일례 하나 더. 1989년 봄, 당시 안기부(현재 국정원)에서 저희 집에 편지와 전화까지 했습니다.
“귀하의 자제를 안기부에 보내주시기를 바랍니다.”
아부지는 너무도 좋아하시면서(국가 기관에서 ‘귀하 아들을 우리 기관으로 보내달라’고 먼저 청한 것이니...) 전화로 그리 대답하셨다지요.
“아들이 신문기자가 되려고 해요. 그래서 안 간다네요.”
“아이고, 선생님. 안기부에도 언론 기관이 있습니다.(당시 북한 문제 등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내외통신’이라는 언론사가 사실상 안기부의 통제 아래 있었습니다.)”
지금 국정원 가려면 어느 정도 노력해야 하나요? 저의 경우처럼, 일개 대학생에게 먼저 ‘영입 의사’를 밝히기도 하나요?
호랑이가 담배 피우던 시절은 몇백 년 전이 아닙니다.
0 XDK (+300)
-
100
-
100
-
100
-
집 도착 2시 예상
-
돌아와...
-
동덕여대 0
덕성여대 서울여대
-
영역 원점수(공통/선택) 등급 표준점수 백분위 국어 언어와매체 80 (62+18)...
-
ot 보니까 다시 인간된 것 같고 뉴런도 개정된다니까 괜히 고민되네…걍 스블 들으려고 했는데 ㄹㅇ
-
천둥번개 ㅅㅂ
-
아닌감 흠..
-
폭탄목걸이 걸고 먼저 달성되는거 고르라하면 후자 고를것같긴 함
-
뭔가 그냥 다 돈이네 12
다 돈나가는 일들 뿐이네...
-
동덕여대 “F 학점 나오면 개인 책임”…학생들은 ‘귓등’ [자막뉴스] 2
동덕여대가 학생들에게 오늘(28일) "수업 듣지 않으면 예외없이 F 학점...
-
키가 큼
-
진학사 실제지원과 다르게 쓰는 비율 60%
-
이원준 쌤 독서만 인강 듣다 다른 강사분 풀커리 타려고 보고있는데 원래 정석민...
-
ㅠㅠㅠㅠㅠㅠ
-
가방에서 료 꺼내같고 사진 찍고 있는 사람보면 멀리 떨어질거 같기도 하고
-
생윤말고 정법할까요 국어는좀 쳐서 할만해보이는데(국어 69수능 백97 98 97)...
-
이거 ㄹㅇ 맞다
-
히히자러간다 11
-
어 귀신인가? 9
나랑 같이 버스 기다리는 사람이 갑자기 사라짐 ㄷㄷㄷㄷㄷ
-
료 4
이건 애니메이트에서 가챠한거
-
orbi.o-r.kr 들어와는지 확인 복돌 안됨(분탕방지) 정품만 들어올 수...
-
이유: 아빠가 목도리 안떠줌
-
말을 잘함.. 약을 팔아도 샀을듯
-
생각보다 늦은 시간은 아님!
-
작년에 물리했다가 물리 버리고 지과하기로 했는뎁 오지훈은 도저히 너무 졸려서...
-
어떤지 후기좀요
-
삐뚤빼뚤해 라잌 0
네모네모 싸인~
-
이것도 따라하려나
-
50분까지 밖에서 오들오들 ㅠㅠ 괜히 나왔엉 좀 안에 있을걸... 다시 들가긴 귀찮..
-
건대 논술 0
건국대 인문사회 2 논술 합격하려면 어느 정도 해야하나요?? 수리 문제는 소문항...
-
지금 시기 특 2
지금은 할 거 없고 심심하지만 나중에 시간 지나서 이때 더 신나게 못 놀아재낀 걸 후회함
-
진학사 3-4칸이 고속 연초라 너무 당황스럽네요..뭘 믿어야되죠
-
어찌하여 기하를 버리셨나이까....ㅠ
-
카톡할 때마다 느끼는데 일단 수식어구가 많음 괄호쓰는 ㅉㄸ처럼 그리고 콤마같은거...
-
그래서 내가 무언가를 지를땐 대부분 새벽임 기차표도 새벽에 질렀었고
-
왜인지는 몰라
-
바램9일차 2
무언가를 간절히 바라면 그게 이루어진대요 지구 37 2컷 9일차
-
뭐 쓰시는지 아는 분?? 제품명 궁금..
-
하스 과금 딱대ㅋㅋㅋㅋ
-
근대 상식 있으면, 얄리얄리 얄라셩 (국어 문학) 공부해서 서울대 vs 영국 옥스퍼드, 캠브릿지 유학, 닥 후자이지 않음? 48
영국 대학은 고등 내신 보지 않음 ㅋㅋㅋㅋ 내신에 미쳐서 날뛰는 서울대, 카이스트,...
-
누가 연다고 했던 것 같은데 나 심심해 ㅜ
-
여자는 생각보다 단순함 11
님 얼굴 차은우면요.
-
ㄱ?
-
때론 복잡하게 생각해서 돌아가는 것보다 부드럽게 밀고 나가는 것이 더 나은 해결책이 될 수 있음.
-
2026 수능 의대 휴학 내년 신입생들도 할 가능성 높음 >신입 휴학생과 휴학...
-
설수리 뭐지? 4
작년이 413인데 올해는 417도 4칸이네... 표준점수는 내려갔는데 왜 컷은 올라가나요 ㅠㅠ
-
어떤 기분일까.. 비행기 타보고 싶네요..
생각이 많아지는 글이네요 다양한 시각에서 생각해 볼 수 있는 글 항상 감사합니다
제가 감사합니다.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만, 과찬이십니다. 그냥 요즘 세태를 보면서 든 느낌을 적었습니다. 응원합니다.
감명깊게 잘 읽었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저도 비슷한 생각입니다. 직업도 주식이나 코인처럼 흐름을 탄다고 생각합니다. 물리학과, 한의예과, 수학과, 컴퓨터공학과처럼. 지금은 메디컬(전문직 전반)이 고점이고 공무원이 하향세인데 20년 뒤엔 또 어떨지 모르죠.
와 안기부
그때 안기부면 지금 국정원 이상아님?
유구무언입니다. 상황이 많이 달랐던 시절이죠, 지금과는...
저희 아부지는 부산대 나오셨는데 이야기 들어보면 그 당시 공무원은 줘도 안가는 곳이였고 졸업후에 공무원 하겠다고 계약? 하면 전액 장학인가 주는게 게시판에 붙여 있었다 하더군요.
정말로 호랑이 담배 피우던 시절이죠...
확실히 경제 성장기와 지금을 비교해보면 지금이 훨씬 포화 상태이고 뭔가 막힌 느낌이 드네요..
고령화 저출산이 심해지고 살기가 힘들어져서 전문직 선호현상이 심해지는 걸 보면 앞으로 이 나라가 어떻게될지 알수가 없습니다
저도 그게 가장 우려됩니다. 그 속에서 살아야 하는, 아니 살아남아야만 하는 이들의 신산함도 그렇고요.
인구밀도 자체는 줄어드는게 좋은현상인데 문제는 그럼 고령화가 너무 심해져서... 사실 땅덩어리 ㅈ만한게 그냥 답이없음 ㅠ
유구무언입니다.
시대는 계속 변하고 그 시대사람들만 알던 게 있는거죠 세상은 늘 힘들고 그 속에서 빛나는 사람이 승자가 되는
이 댓글에도 유구무언입니다. 한데, 하여튼 공부량은 지금이 우리 때보다는 훨씬 많습니다. 최소한 인서울이든 지거국이든 가려면...
당장 10년 전과만 비교해봐도, "똑같은 등급으로 갈 수 있는 대학"은 훨씬 높아졌지만, "똑같은 등급을 받는 것"은 훨씬 어려워졌다 보입니다. 결론적으로 두 변수가 상쇄돼서 대학 가는 난이도는 10년 전과 큰 차이가 없다고 보이네요.
아, 10년 전과 비교하면 그렇군요. 하여튼, 요즘 인서울이든 지거국 수준의 대학을 가기 위한 공부량은 저 때와 비교하면 훨씬 많다고 봅니다.
극히 공감합니다
첫줄에 그냥 성별갈등이라 쓰는 게 낫지 않나 싶어요 괜히 불편러들 생길 수도 있어서
아, 그런가요? 제가 그 생각까지는 못 했습니다. 저는 요즘 여남 혹은 딸아들이라는 식으로 표현합니다. 남성을 앞세우는 게 저조차 이제는 불편합니다. 여남갈등보다는 성별 갈등이 나을 수도 있겠네요. 앞으로 글 쓸 때 참고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저런걸로 다툼이 벌어지는 거라 그냥 중립단어로 쓰는 게 편하더라고요.
이 나라는 언제부터 괴물이 되었을까
유구무언입니다. 참 살기 힘든 나라이기는 하지요.
세상도 갑자기 불공평해졌다는 생각이 많이 드네요
이런 옛날 얘기 재밌고 유익해요
재밌으셨으면 그저 감사합니다. 그냥, 객관적으로 쓰고 싶었을 뿐입니다. 꿀 빨았던 세대를 산 사람으로...
변화하는 세계질서라는 책이 생각나는 글입니다
오우 그런 베스트셀러와 연관이요? 그냥 제 짧은 경험을 쓰고자 했습니다. 15학번 아해가 공부하는 모습을 보면서, 요즘 아해들 참 불쌍하다는 생각을 했거든요. 저는 정말로 편하고도 낭만적으로 공부했는데... 그립다...
이러한 폐단또한 딛고 모두가 잘 사는 나라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 되기를 저 역시 바랍니다. 화이팅 대한민국...
부모님도 종종 절 보면서 지금 태어났으면 대학 못 갔을 것 같다고 말씀하시곤 하는데 이런 이유거 있었군요
팩트로만 보면 부모 님 말씀이 맞습니다. 제 아해 대입 때만 봐도, 제 공부량의 족히 3배는 됐으니까...
선생님 볼때마다 글이 참 멋지다고 느낍니다.
하... 감사는 한데... 실상은 후지디 후진 사람입니다. 틀딱이자... 그냥 우리 후배들이 행복하게 살기를 바랍니다. 응원합니다.
다 좋은데 글 처음부터 갈등을 얘기하시면서 여남갈등이 뭡니까. 그냥 기존에 부르기
편하던대로 남녀갈등이라고 하면 되지요.
지적 감사합니다. 죄송하지만, 저는 앞으로도 여남, 딸아들이라는 용어를 쓸 것입니다. 남자가 무조건 앞에 오는 용법, 남자임에도 이제는 쓰기 싫습니다. 그래서 '역으로, 일부러' 그리 쓰는 것입니다.
저는 여성도 병역 의무를 져야 한다고 보며, 출산 뒤 여성 육아 휴직을 '권리화'하자는 데 동의하는 사람입니다. 그리고 병역 의무를 이행한 사람에 대한 지원은 지금보다 대폭 늘어야 한다고 봅니다.
감사합니다. 평안하소서.
인구밀도가 줄어들면서 취업이 쉬워지고 삶의 질이 개선되려면 경제규모나 소비가 유지되어야 할 텐데, 그게 잘 되면 좋겠습니다. 취업난이 줄어들었다는 일본과 우리나라가 그런 면에서 비슷한지 다른지는 잘 모르겠네요...
저 역시, 거시적 측면에서 인구가 줄어드는 것의 파급 효과를 제대로 알지는 못 합니다.
다만 현금 우리 사회 국가는 자연선택의 과정에 있다고 생각할 뿐입니다.
출산율 증가는 지금 당장은 백약이 무효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우리 사회 국가가 잘 되기만을 그저 소시민으로 빌 뿐입니다.
김고져스/ 일본같은 경우는 노년층들이 은퇴한 상태에서 그만큼 일자리를 남겨놓고
나갔고 또한 이분들이 구매력도 있는 상태이니 기업도 유지가 되서 취업난이 많이
줄어든 상태죠.
하지만 이 노년층들이 점점 사라져 간다면 결국 기업의 매출도 떨어질테니 기업의
규모도 지금보다는 줄어들게 될 것이고 아마도 지금보다는 다시 취업하기가
어려워지겠죠. 물론 수출로 매출이 유지된다면 모르겠습니다만은.